인과응보 비슷한 사자성어 - ingwa-eungbo biseushan sajaseong-eo

  사필귀정과 인과응보 뜻

이번 포스팅에선 2가지의 사자성어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먼저 사필귀정부터 살펴보죠. 事必歸正(사필귀정)은 처음에는 시비(是非) 곡직(曲直)을 가리지 못하여 그릇되더라도 모든 일은 결국에 가서는 반드시 정리(正理)로 돌아간다는 뜻입니다.

잘못된 것들이 기승을 부르지만, 그것은 결국 오래가지 못하고 올바른 것이 이기개 된다는 뜻입니다. 사필귀정의 사(事)는 '이 세상의 모든 일"을 뜻하며, 정(正)은 '이 세상의 올바른 법칙"을 뜻합니다. 무슨 일이든지 반드시 옳은 이치대로 돌아간다는 이야기입니다. 

핑계만 대면서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으면, 그에 따른 결과는 불 보듯 뻔합니다. 그러나 열심히 자신의 할 일을 꾸준히 해낸다면 반드시 그 끝에는 노력에 대한 값진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

인과응보는 많은 분들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因果應報의 한자를 하나씩 살펴보면, 인할인, 과보 과, 응할 응, 값을 보로 되어 있습니다. 행한 대로 업에 대한 대가를 받는다는 뜻입니다. 이도 사필귀정과 비슷한 뜻이며, 자업자득과도 비슷한 사자성어입니다.

좋은 말을 한다면 좋은 일이 생길 것이며, 나쁜 말을 한다면 나쁜 일이 생길 것입니다. 결과는 원인에 있습니다. 내가 어떤 것을 얻고 싶다면, 그에 상응하는 원인을 만들어야만 합니다. 제 생각엔 그 이상의 원인을 만들어야만 내가 원하던 것에 조금이라도 가까이 갈 수 있다고 봅니다. 이 2가지 사자성어를 가슴에 새겨두어야 할 중요한 성어입니다.

토막팁

인과응보 사필귀정(事必歸正) 뜻을 알아보자.

2017. 7. 12. 10:00


살다보면 인과응보와 사필귀정 이라는 사자성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무언가 벌을 받는 상황에서 주로 들어봤던 말인것 같은데요, 인과응보 사필귀정, 비슷한것 같기도 하고 다른 것 같기도 한 이 두 사자성어의 뜻을 정확히 알아보겠습니다. 특히나 사필귀정 (事必歸正) 의 뜻이 좀 헷갈리더라구요. 

먼저 인과응보의 뜻부터 알아볼께요. 원인과 결과는 서로 물고 물린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과거 혹은 전생에서 선과 악 인연이 있었다면 훗날 길흉화복의 갚음을 받게 된다는 의미라고도 하는데요, 이 용어는 불교에서 유래된 말이라고하고, 우리나라 속담중에 비슷한 의미로는 "뿌린대로 거둔다"가 있습니다. 

두번째 사필귀정 입니다. 위 해석에 나와 있듯이.. 모든일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가게 마련이다... 라는 의미입니다. 결국 꼬이고 꼬이는 과정이 있더라도 결론은 바른길로 들어선다.. 뭐 그런 의미이지요. 인과응보와 엮어서 많이 활용되기도 하는데요, "인과응보(因果應報), 모든일은 사필귀정(事必歸正)이다" 라는 식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자료출처 : 카카오스토리 > 오늘의 고사성어

제가 생각하기에 비슷한 표현으로는 "정의는 승리한다" ㅎㅎ 뭐 그런게 있지 않을까 싶네요. "모든 일은 필히 바른길로 돌아간다"... 정말 좋은 표현이고 사술을 부리지 말고 정도를 걸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는 말이 아닐까 싶습니다. 잠깐의 이득을 보려고 꽁수를 부릴수는 있지만, 사필귀정이라.... 그리 오래 가지 않겠지요. 정도를 걸읍시다!

The goal of life is living in agreement with nature. – Zeno

'토막팁' Related Articles


오늘 사자성어는 인과응보입니다.

인과응보
因(인할/인)果(열매/과)應(응할/응)보(갚을/보) 자를 쓰는 사자성어 입니다.
원인과 결과는 서로 물고 물린다는 뜻으로, 과거 또는 전생의 선악의 인연에 따라서 뒷날 길흉화복의
갚음을 받게됨을 이르는 말입니다. 좋은 일에는 좋은결과가 나쁜일에는 나쁜결과가 따른다는 것이지요.
개인 행위의 선악에 대한 결과를 후에 받게 된다는 말로 흔히 죄값을 치른다는 개념을 나타낼때
많이 쓰이는 한자성어이자 불교에서 유입된 불교 용어이기도 합니다.
불교에서 많이 쓰이는것은 알았지만 불교에서 유입되어 사용되어진것은 저도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인과응보는 불교윤리의 기본이 되는 사상이라고도 볼수 있죠?
아래 같은뜻을 가진 한자어가 많이 있지만 자업자득과도 비슷하게 볼수 있고 대체하여 쓸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자업자득(自業自得)도 불교에서 유입된 말인듯 합니다.

    인생을 살면서 자주 듣는 말이 '뿌린대로 거둔다'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이 말은 나쁜 짓을 하고서 살면 벌을 받고, 착한 일을 하면 상을 받는다는 뜻입니다. 이런 사자성어로는 대표적인게 자업자득과 인과응보를 들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종두즉두, 출이반이, 종과득과, 종맥득맥 등 다양한 듯이 있습니다. 차근 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뿌린대로 거둔다 사자성어 모음

    자업자득(自業自得)

    스스로 저지른 일은 다시 자신에게 돌아온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기가 만든 새끼줄에 자기가 묶인다.'라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비슷한 말로는 자업자득(自業自得), 자승자박(自繩自博)이 있습니다.

    인과응보(因果應報)

    원인과 결과에는 반드시 그에 따른 합당한 이유가 있다는 뜻입니다. 노력을 하고 성과가 있을 것이고, 잘못을 하면 벌을 받는 다는 뜻입니다.

    종두득두(種豆得豆), 종맥득맥(種麥得麥)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 보리를 심으면 보리를 얻는다는 뜻입니다. 원인에 따라서 결과가 나온다는 뜻입니다.

    출이반이(出爾反爾)

    자신에게서 나온 것은 자신에게로 다시 돌아간다는 뜻입니다.

    종과득과(種瓜得瓜)

    오이를 심으면 오이가 난다는 뜻으로, 종두득두와 비슷한 뜻입니다. 원인이 있으면 반듯이 그 원인에 따른 결과가 있음을 뜻합니다.

    마치며...

    뿌린대로 거둔다의 사자성어는 이외에도 사필규정 등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사자성어가 많은 건 그만큼 많이 쓰이는 사자성어이기 때문입니다. 일상생활에서 많이 들어본 자업자득, 인과응보와 같은 말들이 있듯이 오늘 하루 착한 일을 많이 했는가를 생각해 보는 하루가 되었으면 합니다.

    2020/08/17 - [라이프뉴스] - 메꾸다 매꾸다 정확한 의미를 알아봐요

    메꾸다 매꾸다 정확한 의미를 알아봐요

    참 한글의 비슷한 말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거기에 의미가 많이 틀린 내용이 많은 것 같습니다. 오늘은 메꾸다 매꾸다의 비슷한 단어이지만 다른 의미에 대해서 알아볼까합니다. 예전에 데��

    ymisdiss.tistory.com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