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취업 현실 - igong-gye chwieob hyeonsil

전공 따라 취업하고 싶지만, 현실은...

잡코리아 2017-03-08 10:16 조회수4,707

신입직 구직자 71.7% '전공분야에서 일하고 싶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신입직 구직자(706명)와 직장인(1,391명) 총 2,097명에게 <전공과 취업>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신입직 구직자 중에는 ‘전공분야로 취업하고 싶다’는 응답자가 71.7%로 과반수이상에 달했다. 전공계열별로는 이공계열(82.6%) 전공자들 중 전공을 살려 일하고 싶다는 신입직 구직자가 가장 많았고, 이어 경상계열(69.0%), 사회과학계열(68.6%) 전공자 중 전공분야로 취업하고 싶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반면 직장인 중 현재 ‘전공을 살려 전공분야에서 일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45.0%에 그쳤다. 전공을 살려 일하는 직장인은 경상계열(51.9%)과 이공계열(50.9%) 전공자가 가장 높았고, 인문계열(33.2%) 전공자가 가장 낮았다.

잡코리아 변지성 팀장은 “취업이 어려움으로 전공과 유사분야로 지원분야를 넓혀 지원하는 구직자들이 등장하면서 전공분야 이외의 분야로 경력을 쌓아가는 직장인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신입직 구직자 전공별로 취업하고 싶은 직무 달라


한편, 신입직 구직자들의 취업하고 싶은 직무분야와, 취업을 위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도 전공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취업하고 싶은 직무분야로  ▲경상계열 전공자들은 인사총무(45.2%) 마케팅(32.1%) 재무회계(31.0%) 광고홍보(20.2%) 직무 순으로 취업하고 싶다는 응답자가 많았고, ▲이공계열 전공자 중에는 생산/현장직(40.8%) 연구개발(37.6%) IT시스템운영(35.7%) 직무로 취업하고 싶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사회과학계열 전공자 중에는 인사총무(39.2%) 마케팅(33.3%) 광고홍보(31.4%) 직무로 취업하고 싶다는 응답자가 많았고, ▲인문계열 전공자들은 기타서비스(24.0%) 마케팅(23.3%) 인사총무(22.7%) 해외영업(20.7%) 직무로 취업하고 싶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또 ▲예체능계열 전공자 중에는 디자인(32.0%) 마케팅(25.2%) 기타서비스(25.2%) 직무로 취업하고 싶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또, 신입직 구직자들은 취업 성공을 위해 ‘전공/직무분야의 자격증 취득(44.3%)’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준비했다고 답했다. 이어 인턴이나 대외활동 등 ‘직무경험(40.7%)’을 준비했다는 응답자가 많았는데, 이는 기업들이 신입직 채용 시 직무전문성을 중요한 기준으로 평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취업을 위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전공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경상계열(42.9%) 인문계열(41.3%) 전공자 중에는 ‘직무경험’이 취업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준비했다는 응답자가 많았고, 이공계열(52.6%) 예체능계열(44.7%) 전공자 중에는 ‘전공/직무분야 자격증 취득’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준비했다는 응답자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현영은 smile@

관련 글 더 보기

> 공채준비 중 취준생 64.8% "차라리 공채 포기하고파"

> 대학생, 입학부터 졸업까지 평균 5.3년 걸렸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기업채용 이공계 80% , 학교엔 文科가 넘친다

삼성그룹의 올해 상반기 대졸 공채 합격자 4000여 명 중 80~90%가 이공계열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이공계 비율이 85%를 웃돌았고, 삼성중공업은 90%를 넘어섰다. 지난해 공채 합격자 80%를 이공계로 채운 현대자동차는 올해부터 아예 공채에서 이공계만 뽑고 있다. LG그룹, SK그룹도 지난해 70~80%를 이공계에서 선발했다.

취업시장에서 이공계 선호는 거스를 수 없는 사회적 흐름이다. 산업이 고도화되고 글로벌시장에서 경쟁할 기술개발이 중요해지면서 기업들은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이공계 인재를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8대2(이공계 대 인문계)라는 극단적인 비율은 국내 굴지 기업들의 채용 정책이 지나치게 근시안적이라는 우려를 들게 한다. 기업의 장기 비전을 생각할 때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와 기술적 자질을 가진 인재의 적절한 균형이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기업의 이공계 수요는 압도적이다. 반면 교육현장에는 인문계가 넘쳐나면서 취업시장에서의 미스매치(수요공급 불일치)가 커지고 있다. 2014년 4년제 대학 모집정원은 인문계가 49.5%, 자연계가 50.5%를 차지해 수요에 비해 인문계 비율이 너무 높다. 고교로 가면 문과 쏠림은 더 심각하다. 2014년 고교생 수능 응시생 비율은 문과가 58.8%, 이과가 41.2%로 사회 수용률과 따로 논다.

현재 수도권 대학 이공계 대졸자는 거의 100% 취업이 되지만, 인문계는 상경계열 외에는 직장 구하는 게 하늘의 별따기다. 산업계와 교육계의 이 같은 미스매치가 해결되지 않으면 대졸 실업자 문제는 더 악화될 수밖에 없다. 또 인문계 인적 자원 낭비와 이공계 인력 부족 현상은 결국 국가적으로 손실이다. 대학이 `취업 양성소`는 아니지만 대학 졸업자들이 일자리를 못 구하면 갈등이 커진다. 고교와 대학은 사회 수요 변화에 맞춰 문ㆍ이과 모집정원 조정 등 현실에 적응해야 한다. 교육부는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을 개발해 현재 초등 6학년이 대학에 들어가는 2021년부터 적용하기로 했는데 더 앞당기기 바란다.

추천  1

이공계에 대한 현실감각이 부족할 경우의 공대 진학에 대하여

글쓴이 공대생.등록일2019-03-31 21:15조회5,018회추천0건댓글2건

관련링크

    먼저 이 글을 읽어주세요.
    //www.scieng.net/expo/41625?page=8
    4년제 공대 나와서 하는일을 구체적으로 알고싶습니다
    노을 작성일2009-02-21 20:29
    진로 선택에 앞서.. 적성에 맞춰 선택하고싶어 질문합니다.

    보통 의사,교사 등의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일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 수 있는데요.

    4년제 공대 나와서 중소기업 혹은 대기업에 취직하면 무슨 일을 하는지 알기 힘들어서요..

    지식in에서 정보를 수도 없이 찾긴 했지만.. 부정확한 정보도 있어서.. 이쪽에 종사하고 계신 분들의 말씀을 듣고 싶습니다..

    ------------------------------------------------------------
    질문별로 나눠서 답변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_^
    (답을 쓰실 땐 자신이 전공한 과를 적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질문1)생산관리 이런거 한다고 하던데..이건 전문대 or 고졸 사람들이 생산할 때, 생산이 잘 되고 있나 검사하고, 기록하고 그런걸 담당하는거에요?

    질문2)대기업에 취직하면 보통 무슨일을 하나요?

    질문3)중소기업에 취직하면 보통 무슨일을 하나요?

    질문4)(제가 아는 것 이외에)다른 길로 갈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제가 아는것 : 중소기업,대기업, 공기업,공사,공단, 창업, 공무원시험
    --------------------------------------------------------------

      댓글 5

    예진아씨 09-02-23 13:53
      이런 거 질문하시는 거 보면 그냥 공대 가지 마세요 안가시는 게 좋습니다

    노을 09-02-23 14:58
      왜 그러시는지 궁금합니다.. 난처하네요 -_-;; 일이 고되서 그런가요 아니면 제가 못마땅해서 그런가요.. 궁금합니다

    예진아씨 09-02-24 04:19
      이공계애 대한 현실감각이 너무 없으셔서 그렇습니다. 현실감각 없이 공대에 들어가서 졸업한 다음에 크게 후회하거나 방황하면 늦습니다. 아예 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차리라 본인이 평소에 접해 봤고 감각이 있는 쪽과 관련된 쪽으로 가시기 바랍니다.

    그림 09-02-24 13:49
      질문을 바꿔보죠.

    4년제 어문대학 나와서 하는일을 구체적으로 알고싶습니다

    4년제 경영대학 나와서 하는일을 구체적으로 알고싶습니다

    4년제 예술대학 나와서 하는일을 구체적으로 알고싶습니다

    ....

    누구도 원하는 답을 못줄겁니다.
    질문하는 분야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얘기해줘도 이해하기 어렵고요.

    궁금이 09-02-25 08:33
      예진아씨 님 감사합니다..

    그림 님.. 저는 '전공을 살려서 취직했을 때' 하는일이 무엇인지를 말한거에요 ㅎㅎ 물론 전공 살리지않고 취직ㅎㅏ는경우도많지만.

    —————————————————————————————-

    사이엔지에서 찾았던 글입니다

    위글에서 보면 답글 달아준 분이 이공계에 대한 현실감각이 없으면 공대진학은 피하라라고 말씀하셨는데요

    제가 그런경우 입니다.

    기계공학과를 졸업해서 생산관리 품질관리 연구개발같은 일들을 한다고 설명을 들어도 잘 와닿지를 않고

    중소기업을 취업했을때와 대기업을 취업했을때 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지는 대충 비슷할거라 추측하고 있습니다만

    저 글의 질문자와 공대진학하기전의 제모습이 거의 일치한다고 보면될거 같습니다

    제가 이공계에 대한 현실감각이 부족하긴 한거 같은데 대학입학시에 이런글을 보고도 괜찮겠지 생각하면서 기계공학과를 진학하고 2학년을 마친상황입니다

    최근에 이글을 보고 느낀바가 있어서 (부족한 현실감각은 공대를 다녀도 쉽게 채워지지 않는다는) 더 늦기전에 다른과로 편입을하던지 학교를 그만두던지 해야할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저같은 경우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다른분들도 이공계에 대한 현실감각이 떨어지는 경우 공대 진학을 피해야한다고 생각하시는지

    아니면 다르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신지요

    고민이 큰데 다른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다른 사람들 의견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