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의 비중 시험 목적 - heulg-ui bijung siheom mogjeog

본문내용

좋다.)
③ 물을 채운 후 피크노미터 마개를 덮을 때 물이 마개에 가득 차도록 해야 한다.
④ 전열기 사용에 주의한다.
⑤ 비중병의 검정 온도와 내용물의 온도를 일치시키도록 노력하고 그 온도를 될 수 있는한 낮추도록 한다.
⑥ 내용물을 병에 옮길 때에는 미량이라도 흘리지 않도록 주의한다.⑦ 비중의 측정은 동일 종류의 시료에 대하여 3~5회 반복하고, 측정값의 분산을 확인해본다.
7. 시험결과 및 계산
온도 4 ~ 30℃에 있어서의 물의 비중(Cw) 및 수정계수(K)
흙의 비중은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일반적인 흙의 비중은 대략 2.60~2.80이다.
여기서, K : 수정계수 : 흙의 건조중량
: 플라스크+물 중량 : 플라스크+흙 중량
비중병(Pycnometer+뚜껑) 번호
(1)
(비중병+뚜껑) 무게 , g

45.79
'병+시료‘의 공기중 무게 , g

75.86
끓인 후 식힌
‘병+시료+물’
무게 , g

157.02
온도 , °C

30
,

0.995678
'비중병+물‘
무게 , g

139.77
온도 °C

23
,

0.997568
'병+물‘
무게

°C , g

⑥-①
93.98
°C , g

93.80
°C '병+물‘ , g

⑩+①
139.59
흙시료
공기중 무게,, g

②-①
30.07
수중 무게 , g

③-⑪
17.43
부력() g

⑫+⑪-③
12.64
비중
°C에서의

2.38
표준온도(15°C)
각 비중병
2.375
평 균
2.375
8. 결과토의 및 논의
흙의 비중시험에 대해서 우선 시험에 임하기전 시험의 순서와 방법은 조금은 숙지해둔상태에서 시험을 해서인지 순조롭게 이루어진것같다. 그러나 시험도중 시험기구를 다루는데 있어서 서투른점이 시험결과의 오차를 판가름 한 것 같다. 우선 비중병의 완전건조가 안된점에서부터 실험의 오차가 발생했을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최소한 세 번의 시험을 하여 평균을 내보아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점과 물기제거의 실수, 저울의 오차, 실험도중 노건조시료를 흐리게 하는 것은 실험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비록 시간이 부족하여 촉박함을 느끼며 실험을 하였지만 적은 양의 무게도 무시할수 없는 것이란 것과 비중시험이 어떠한 것인지 잘 몰랐던 것에 반해 몸소 시험을 해보니 흙의 비중이 흙의 견고한 정도나 유기질토에 있어서의 유기물 함유량을 구하는데 많은 이용이 되겠다는 것을 알게 되는 뜻 깊은 시험이었다.

추천자료

  • [고대사회]고대국가의 성립과 발전
  • [이거하나면 끝] 리더십 모음집
  • [일반상식]면접대비 일반상식 231
  • [공무원면접] 시사상식
  • 공무원 국어 기출문제(국가직7급,국가직9급,국회8급,경찰공무원,군무원)
  •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 [안전공학과]안전기사 자격증 줍기
  • [토목] 토목기사 1급 정리입니다.
  • [한국과학사] 일상에서 만나는 풍수지리
  • [한국과학사] 숯이 사람을 살린다
  • 소개글 [토질역학, 비중시험, 건설재료실험, ] 흙의 비중시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장비 및 기구
    3. 실험방법 및 순서(이번 실험에서는 노건조 시료 사용)
    [안전 및 유의사항]
    4. 이론
    5. 결과 및 데이터
    6. 오차의 원인
    7. 토의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목적
    흙입자의 비중은 흙의 기본성질인 간극과 포화도를 아는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흙의 다짐정도와 유기질흙에 있어서 유기물함량을 구하는데 이용된다. 하지만, 흙입자의 크기나 흙성분의 변화에 따른 비중의 변화변위는 좁기 때문에 이것으로 비교적 정확히 흙을 분류하거나 판별하는데 사용하기는 어렵다고 한다.

    2. 실험장비 및 기구
    (1)피크노피터: 용량 100ml이상의 체적측정용 플라스크 또는 스토퍼(stopper)가 있는 용량 50ml 이상의 병이어야 한다. 스토퍼(stopper)는 병에 꼭 맞는 것이어야 하며 병의 목에 쉽게 들어갈 수 있고 중앙에 작은 구멍이 있어서 공기와 여분의 물을 뿜어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비중시험에는 부피 팽창이 적은 양질의 유리

    비중병

    (2)저울
    (3)온도계
    (4)끓이는기구: 기구내에 넣은 물을 끓일 수 있는 것 예) 가열기
    (5)시료
    -9.5mm 체를 통과한 시료를 사용
    -흙입자의 분리 또는 흙의 파쇄기구를 사용하여 흙입자를 충분히 분리해 놓는다
    -시료는 젖은 상태 그대로 인 것. 공기건조한 것 또는 노건조한 것이어도 좋지만, 그 양은 호칭용량 100ml 이하의 피크노미터를 사용할 때는 노건조질량 25g 이상으로 한다.

    참고문헌 토질역학 정충선 구미서관
    토질시험 (수정판) 김상규 동명사

    하고 싶은 말 후회하지 않으실 겁니다.
    깔끔히 정리되어 있어요

    #비중시험#피그노미터#토질역학#건설재료

    목차

    1.실험 목적
    2.실험 이론
    3.시험 장비
    4.시험 방법
    5.실험 결과
    6.결과 분석
    7.오차의 원인
    8.고찰
    참고문헌

    본문내용

    ⑤ 스포이드
    ⑥ 가열장치(전열기 또는 알코올 램프)
    ⑦ 시료취급용 팬
    ⑧ 증류수
    4.시험 방법
    (1)준비 과정
    ① KSF 2301에 규정하는 방법에 따라 얻어진 #10(9.5mm)체를 통과한 시료를 사용한다.
    ② 흙입자의 분리 기구 또는 흙의 파쇄 기구를 사용하여 흙 입자를 충분히 분리해 놓는다.
    ③ 시료는 젖은 상태 그대로인 것, 공기 건조한 것 또는 노건조한 것이어도 좋지만, 그 양 은 호칭용량 100 이하의 비중병을 사용할 때는 노건조 질량 10g이상, 호칭 용량 100 보다 큰 피크노미터를 사용할 때는 노건조 무게 25g 이상으로 한다.
    비고) 시료의 최대량은 시료를 비중병에 넣었을 때, 물속의 체적 높이에서 비중병 실질 부분의 아래에서부터
    1/4정도가 바람직하다.
    (2)시험 과정
    ① 시료를 #10 체로 거른다.
    ③ 비중병의 증류수를 끓이고 눈금까지 증류수로 채운 후 천천히 식힌다. 비중병을 식히며 증류수의 부피가 줄어든 양만큼 다시 채워 넣는다.
    ② 플라스크 보정을 위해 비중병에 기포가 없도록 증류수를 눈금의 절반정도 채운다.
    ④ 식힌 증류수가 채워진 비중병의 겉과 속의
    물기를 제거한 후 무게 값 를 측정한다.
    ⑤ 식힌 증류수가 채워진 비중병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 때 온도계가 비중병에 닿아서는 안 된다. 온도와 무게를 측정한 후 다시 식히며 무게와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범위 : 4~30℃) 이를 3~4회 반복하여 플라스크 보정 그래프를 그린다.
    ⑦ 증류수를 가하여 수위가 비중병의 2/3정도가 되게 한다.
    비고) 노건조 시료를 사용하는 경우는 충분히 저은 후 노건조하여 시료의 무게를 측정한 후 비중병에 놓는다. 그리고 증류수를 가하여 12 시간 이상 담근 후 다음과정을 실시한다.
    ⑥ 노건조한 일정량의 시료 를 검정을 끝낸 깨끗하고 건조한 비중병 속에 넣고 (비중병+시료)의 무게 를 0.01g의 정도(精度)까지 측정한다.
    ⑧ 흙 속의 공기를 쉽게 배출시키기 위해 비중병을 끓인다. 가끔 피크노미터를 흔들어 기포가 빠져 나오는 것을 돕는다. 기포를 충분히 제거한 후에 시료를 거의 실온이 될 때까지 방치한다.
    단, 시료가 흘러 넘치지 않게 주의한다.
    비고) 끓이는 시간은 일반적인 흙에서 10분 이상, 고유기질토에서는 약 40분, 화산재 흙에서는 2시간 이상 필요하다.
    ⑨ 검정곡선 범위 내의 온도까지 식힌 비중병을 눈금까지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증류수로 채우고, 비중병 표면과 뚜껑외부의 물기를 깨끗하게 제거한다. 그 후 (비중병+증류수+시료) 의 무게 를 0.01g 정밀도로 측정한다.
    ⑩ (비중병+증류수+시료)의 온도 를 측정한다. 같은 방법으로 3회 이상 시험하여 평균값을 채택한다.
    5. 실험 결과 data sheet
    비 중 측 정 시 험 - A조
    1. 비중병 보정(Flask Calibration)
    Determination No.
    1
    2
    3
    4
    Weight Flask + Water, (g)
    659.65
    659.82
    659.93
    660.14
    Temperature, (℃)
    29.8
    27.8
    26.2
    24.3
    2. 비중 측정
    Determination No.
    1
    2
    3
    Temperature, (℃)
    29.5
    27
    24.3
    Specific Gravity of water ,
    0.995828
    0.996545
    0.997254
    Flask + Water , (g)
    659.6785
    659.8907
    660.0859
    Flask + Water + Soil, (g)
    710.48
    710.58
    710.79
    Container, (g)
    344.1
    Dry Soil + Container, (g)
    425.05
    Dry Soil (g)
    80.95
    Specific Gravity of soil ,
    2.6762
    2.6682
    2.6714
    2.6719
    6. 결과 분석
    : 온도 ℃에서 (비중병+물)의 질량(g)
    : 온도 ℃ 에서 (비중병+물)의 질량(g)
    : 를 측정하였을 때 피크노미터의 내용물의 온도(℃)
    : 비중병의 질량(g)
    : ℃일 때의 물의 단위중량()
    : ℃일 때의 물의 단위중량()
    *각각의 온도에 맞는 단위중량은 보고서 맨 밑의 물의 밀도 표에서 구하였다.*
    여기에서 와 로 플라스크 보정 그래프를 그리면
    이런 그래프를 얻을 수 있고 최소제곱법으로 추세선을 그려보면
    라는 그래프를 얻을 수 있는데, 여기에서 에 구하고자 하는
    를 각각 대입하면
    일 때 , 일 때
    일 때 라는 값을 얻을 수 있다.
    이고, 위에서 식으로 구한 의 값과 비교하였을 때,
    오차율은
    로 매우 작다.
    따라서 두가지 방법으로 구한 값이 거의 일치 하므로 실험이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식으로 시험에 사용된 흙의 비중을 구하였는데 비중은 흙의 기본적인 성질이므로, 비중으로 흙이 어떤 광물로 이루어져있는지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는데, 실험에서 쓰인 흙의 비중을 구해보면 2.6719 이므로 , 실험이론에서 보았던 일반적인 광물의 비중 표에서 찾아보면 이 흙은 몬모릴로나이트 혹은 Na장석과 Ca장석, 혹은 녹니석 정도로 추정 할 수 있다.
    7. 오차의 원인
    (1) 기포로 생기는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비중병에 증류수를 채울 때 여러번 나눠 담아서 기포를 최소화한다, 흙속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비중병을 끓이는데 이때 피크노미터를 흔들어 기포를 최소화시켜서 오차를 줄인다.
    (2) 노건조한 시료 또는 공기건조한 시료를 사용할 때 완전히 건조된 시료를 사용 하여 시료의 무게에 대한 오차를 제거한다.
    (3) 검정곡선 범위 내의 온도까지 식힌 비중병의 무게를 잴 때 표면의 물기를 깨끗 이 닦아서 표면의 물방울 무게로 생길 수 있는 오차를 제거한다.
    8. 고찰
    흙고체의 비중은 토질역학에서 여러 가지 계산을 위해 자주 필요하다. 이번 실험을 통해 비중을 공부하면서 비중이 흙의 간극비나 포화도처럼 굉장히 중요한 성질을 계산하는데에 쓰이는 성질 이란 것을 알게 되었고, 흙을 비중병에 넣고 끓이고 온도를 재고, 무게를 재는 등 간단한 과정만으로 구할 수 있는 것이란걸 알게 되었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구한 비중이 애매하게 나와서 시험에 사용된 흙이 정확히 어떤 광물들을 포함하고 있는지 알 순 없어서 아쉬웠다.
    -참고문헌 : 수문학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