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고시 보호직 합격 수기 - haengjeong-gosi bohojig habgyeog sugi

[합격의법학원] 2013년 합격의법학원 5급공채(행정,외무,국립외교원) 수험가이드 - 다운로드가능

작성자합격법학원|작성시간13.02.22|조회수569 목록 댓글 1

시험안내
2013년 국가공무원 공채시험 주요 변경사항 안내 6
2013년도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일정 8
2013년도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계획 공고 12
5(등)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12
2013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시행 공고 21
2013년도 5(등)급 공채시험 출원현황 32
2013년도 5(등)급 공채시험 경쟁률 현황 33
2012년도 5급 공무원 공개경쟁채용 제1차시험 합격자 통계 34
2012년도 5급 공개경쟁채용(행정) 제2차시험 합격자 통계 40
2012년도 5급(행정) 공무원 공채시험 최종합격자 발표 42
2012년도 5급(행정) 공채시험 최종합격자 통계 43
2012년도 5등급 외무공무원 공채 제1차시험 합격자 발표 44
2011년도 5등급 외무공무원 공채 제1차시험 합격자 통계 45
2012년도 5등급 외무공무원 공채 32명 최종합격 46
2012년도 5등급 외무공무원 공채 최종합격자 통계 47
✰ 2014년 대비 “합격종합반” 안내 48

과목별 必 합격 공부 방법론
PSAT 상황판단 공부 방법론 54
경제학 공부 방법 57
경제학, 이렇게 준비하라! 59
경제학 공부방법론 61
행정고시 등 국가시험 공부하시는 수험생들에게 몇 자 고함 64
정인영 즐겨찾기 행정법 공부방법론 67
행정고시 사회과학을 위한 수험전략 가이드 70
행정학의 과목 특징 및 공부방향 80
조사방법론의 과목 특징 및 공부방향 81
정치학 공부방법론 82
상법 공부방법론 83
국제정치학, 국제법 공부방법론 85
국제법 공부방법론 및 주관식 답안지 필수적 유의 사항 91
국제법상 가치 충돌의 사례 98
국제정치학(외교사 포함)공부방법론의 총체 101
국제정치학 2차 답안지 작성 요령 105
외무고시(외교아카데미 시험) 입문에서 성공까지 108
외무고시 영어시험 경향과 대비 요령 112
행정고시 국제통상직 영어시험 경향 및 대비 요령 115
제2외국어 공부방법론 117

합격 수기
2012년도 제56회 5급 공채(일반행정) 합격수기 126
2012년도 제56회 5급 공채(일반행정) 합격수기 130
2011년도 제55회 5급 공채(일반행정) 합격수기 133
2011년도 제55회 5급 공채(일반행정) 합격수기 136
2010년도 제54회 5급 공채(재경직) 합격수기 140
2010년도 제54회 5급 공채(재경직) 합격수기 144
2010년도 제54회 5급 공채(보호직) 합격수기 147
제46회(2012년) 5급 공채(외무) 합격수기 154
제46회(2012년) 5급 공채(외무) 합격수기 158
제46회(2012년) 5급 공채(외무) 합격수기 161
제46회(2012년) 5급 공채(외무) 합격수기 164
제44회(2010년) 외무고등고시 합격수기 167
제44회(2010년) 외무고등고시 합격수기 173

부록(영어,한국사)
영어인증 공부방법에 대한 전략적 접근방법 18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출제동향과 공부방법 184

 
  

13년_5급공채가이드 .pdf

  • pdf 파일 13년_5급공채가이드 .pdf

[고시투데이] 보호직 공무원은 범죄 경력이 있고 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을 관리하는 직업이다. 범죄 전력이 있는 사람들의 재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이를 국가에서 관리하는 것은 범죄예방에 핵심적이다. 동시에 이들이 정상적으로 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이러한 국가의 의무는 계획과 정책을 통해 실현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행정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에서 선발하는 보호직 5급 공무원에 도전할 수 있다.

◆ 보호직 5급 공무원의 업무와 선발 인원

5급 보호직 공무원은 법무부 소속으로 보호 관찰 대상, 소년범, 이탈 청소년 등을 지도, 관리, 교화하거나 관련 행정 업무를 담당한다. 9급, 7급 보호직 공무원은 보호관찰소, 소년원 등에 근무하며 이들을 직접 상담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면, 5급 보호직 공무원은 이러한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과 행정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법무부는 운영지원과, 기획조정실, 법무실, 검찰국, 범죄예방정책국, 인권국, 교정본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범죄예방정책국은 다시 범죄예방기획과, 보호정책과, 치료처우과, 소년보호과, 보호관찰과, 전자감독과로 구성되며 보호직 5급 공무원이 이러한 업무를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에서 보호직 공무원은 매년 2명 정도로 소수의 인원을 선발하고 있다. 다만 인력 수요에 따라 2016년, 2018년의 경우와 같이 선발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2020년 5급 공무원 채용 시험에서는 2명을 선발하였고, 2021년에도 2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2020년 시험에서는 2명 선발에 1차 시험에 90명이 응시하여 4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선발인원이 매우 소규모이고 경쟁률이 높기 때문에 합격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높이는 전략으로 시험에 대비해야 한다.

2021년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은 2월 5일부터 접수를 시작한다. 제1차 시험은 3월 6일에 치러진다. 합격자는 4월 7일에 발표되며 1차 합격자를 대상으로 7월 15일부터 7월 20일까지 제2차 시험이 치러진다. 제3차 면접 시험은 11월 4일부터 11월 6일까지 치러진다.

 보호직 5급 공무원 시험 통계

보호직 5급 공무원의 채용은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선발은 총 3단계에 걸쳐 이루어진다. 1차는 선택형 필기시험으로 PSAT, 헌법, 영어, 한국사 과목이고 2차는 논문형 필기시험으로 5과목을 평가하게 된다.

형법, 형사소송법, 심리학, 형사정책의 필수 4과목과 교육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중 선택 1과목이다.

이 중 1차 시험에서 영어와 한국사 과목은 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한다.

영어 과목의 경우 IBT 토플 71점, 토익 700점, 텝스 340점, 지텔프 레벨2 65점, 플렉스 625점 이상을 만족해야 하고, 한국사 과목의 경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성적표는 1차 시험 예정일 전날인 3월 5일까지 사이버국가고시센터를 통해 등록해야 한다.

1차 시험에서는 과락을 면하는 것이 관건이다. 헌법 과목의 경우 60점 이상, PSAT의 경우 각 과목 만점의 40% 이상, 총점의 60% 이상의 점수를 획득해야 한다. 2020년에 치러진 국가공무원 5급 보호직 공무원 채용시험의 합격선은 70.83점이었다.

점수 분포 별로 보면 75점 이상 80점 미만 득점자는 7명, 70점 이상 75점 미만 득점자는 8명, 그리고 65점 이상 70점 미만 득점자와 60점 이상 65점 미만 득점자가 각각 15명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과락자는 28명으로 응시한 90명 중 30% 이상이었다.

1차 시험에서 합격한 사람은 2차 시험을 치를 수 있다. 2020년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에서 보호직 1차 시험에서 합격한 사람은 14명이었다. 이 중 2명이 최종 합격하여 5급 보호직 공무원으로 임명되었다.

2차 시험에서 중요한 것은 전공 과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다. 형법, 형사소송법, 심리학, 형사정책의 필수 4과목과 교육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중 선택 1과목으로 논문형 필기시험을 치르게 되며, 2020년 시험의 경우 61.85점에서 합격선이 형성되었다. 참고로 2019년 시험의 경우 합격선은 58점으로 형성되었다.

논문형 필기시험 과목들은 모두 직무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실무에 활용되기 때문에 단순히 시험에 대비하기 위함이 아니라 전반적인 소양을 쌓는 목적으로도 준비해야 한다. 여기에 더해 연습 답안을 써보는 스터디를 활용하는 것도 합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범죄예방, 보호정책 등에 관심이 있다면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에서 선발하는 5급 보호직 공무원에 도전할 수 있다.

5급 보호직 공무원으로 합격하기 위해서는 먼저 영어와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점수를 취득하고, PSAT과 헌법 과목에서 안정적인 점수, PSAT은 70점 정도, 헌법은 60점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2차 시험 과목인 형법, 형사소송법, 심리학, 형사정책과 교육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중 1과목을 선택하여 총 5과목의 전공과목을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

자료 출처: 인사혁신처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