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냄 문학 교과서 PDF - haenaem munhag gyogwaseo PDF

이 교과서의 차례

  문학 활동의 즐거움
1. 문학의 수용12

  (1) 문학 작품의 구성 원리14
수묵 정원 9-번짐(장석남)16
탁류(채만식)22
그 시절 우리들의 집(공선옥)35

  문학의 다양한 모습42
세한도-벼루 읽기(이근배)44
소년을 위로해 줘(은희경)50
뿌리 깊은 나무(이정명 원작/김영현 외 극본/장태유 외 연출)59

  문학의 비판적창의적 수용68
흔들리는 팬지꽃 아픔, 고정희의 우리 동네 구자명 씨(유문선)70
광문자전(박지원)78

  더불어 읽기­메밀꽃 필 무렵(이효석 원작/오세영 만화)86
중단원 마무리91

  2. 문학의 생산94

  문학 작품의 재구성96
아우의 인상화(윤동주) 98
구복 여행(작자 미상)103

  문학 작품의 창작 110
달팽이(정호승)112
세상에 단 한 권뿐인 시집(박상률) 118
더불어 읽기-시간을 파는 상점(김선영)130
중단원 마무리 133
대단원 마무리135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

  1. 한국 문학의 이해138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140
초혼(김소월) 142
상춘곡(정극인)147
흥보가(작자 미상) 153

  한국 문학과 사회162
고시 7(정약용) 164
서울, 1964년 겨울(김승옥)169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186
봄은(신동엽)188
토버모리(사키) 193

  더불어 읽기-천지꽃과 백두산(석화)204
중단원 마무리205

  이 교과서의 차례

  2.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208

  서정 갈래의 흐름210
공무도하가(백수 광부의 아내)214
제망매가(월명사)218
청산별곡(작자 미상)222
시조 네 편(성삼문황진이김천택작자 미상)228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백석)234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황지우)240

  서사 갈래의 흐름 246
주몽 신화(작자 미상)250
이생규장전(김시습) 255
사씨남정기(김만중)264
광장(최인훈) 273

  극 갈래의 흐름284
하회 별신굿 탈놀이(작자 미상) 288
북어 대가리(이강백)298

  교술 갈래의 흐름 310
이옥설(이규보)314
동명일기(의유당) 319
사발시계(윤오영)326

  더불어 읽기-국순전(임춘) 332
중단원 마무리337
대단원 마무리341
문학과 함께하는 삶

  1. 문학과 나344

  문학과 자아346
새벽 편지(곽재구) 348
달밤(이태준)353

  문학과 사고 364
도산십이곡(이황)366
숨어 있는 나무(신경숙 글/구본창 사진) 372

  더불어 읽기-흑백 사진-7(정일근)378
중단원 마무리 380

  2. 문학과 우리382

  문학과 삶의 다양성 384
(가브리엘라 미스트랄)386
산거족(김정한) 392

  문학과 공동체402
이빨 두 개(박문철 외 극본/강이관 감독) 404
우포늪(황동규)414
아리랑(조정래) 419

  더불어 읽기­매일 된장찌개 사 먹는 노인(박상우)428
중단원 마무리 430
대단원 마무리432
이 교과서의 구성과 특징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