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인증서 스마트폰 저장 - gongdong-injeungseo seumateupon jeojang

안녕하세요 이전에 제가 '공인인증서 핸드폰으로 간편하게 인증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었습니다. 생각보다 유용했는지 많은 분들이 해당 글을 찾아주셨는데요, 그런데 포스팅을 읽고 나서 휴대폰으로 공인인증서를 사용하는 방법은 이해는 했는데, 휴대폰에 공인인증서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질문하는 분들이 있어서 오늘 휴대폰에 공인인증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휴대폰에 공인인증서 저장하는 순서

각자 이용하는 은행이 다르겠지만 공인인증센터 홈페이지 구성 자체는 크게 다르지 않고 비슷하기 때문에 따라하는데 어려움은 없을 겁니다. 우선 저는 국민은행 공인인증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상 국민은행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검색창에 '국민은행 공인인증센터'를 검색한다.
  2. 왼쪽 윗부분에 '인증센터'에 마우스를 가져다 놓으면 개인/기업중에서 각자 해당하는 것을 클릭한다.
  3. 가운데 오른쪽 부분에'공동 인증서 발급/재발급'을 클릭한다.
  4. 왼쪽 목록에서 '스마트폰 인증서 복사'를 클릭한다
  5. 개인에 해당하면 'KB스타뱅킹', 기업에 해당하면 'KB스타기업뱅킹'설명을 참고한다.

저는 기업회원이 아니고 개인회원이기 때문에 개인회원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하지만 기업회원과 개인회원의 차이점은 휴대폰 애플리케이션 종류의 차이만 있으니 순서만 잘 따라하면 어려움은 없으니 이어서 설명하겠습니다.

  1. 'PC에서 스마트폰 인증서 복사하기'를 클릭한다.
  2. 은행 홈페이지의 보안을 위해서 몇 가지 프로그램을 설치하라고 나오면 모두 설치한다.
  3. 설치가 완료되면 새로운 인터넷 창이 하나 나타난다.
  4. 새로운 인터넷 창에서 '인증서 복사(PC에서 스마트기기)'를 클릭한다.

다음 단계부터는 글보다는 사진설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공인인증서-휴대폰-저장순서-안내

▶ 일반 공인인증서와 범용 공인인증서의 차이점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은 경험이 있는 분은 일반과 범용 공인인증서의 차이점을 알겠지만, 만약 이번에 공인인증서를 처음 만들려는 분은 아래 설명을 꼭 참고하세요.

  • 일반 공인인증서- 일반 공인인증서를 발급받는 데에는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용도가 일부 제한되는 부분이 있는데요, KB스타뱅킹이나 국민은행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뱅킹이나 보험가입, 정부 24 등에서 '공인인증서 로그인', 신용카드 신규가입 등은 가능합니다.
  • 범용 공인인증서 - 일반 공인인증서와 다르게 4,400원의 수수료가 발생하고 일반 공인인증서에서 가능한 사항은 모두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주식거래나 코인 거래소에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4,400원의 수수료를 고려했을 때 일반 공인인증서와 범용 공인인증서의 차이점이 별로 없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요즘같이 개인정보 보안이 철저한 환경이다 보니 범용 공인인증서를 요구하는 곳이 많습니다.처음에는 저도 인터넷 뱅킹을 위해서 일반 공인인증서를 발급했지만, 사용하다 보면 4,400원의 수수료가 발생하더라도 결국 범용 공인인증서를 다시 발급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두 종류의 공인인증서의 차이점 설명은 이걸로 충분하고 각자 목적에 따라서 적절한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으면 될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범용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을 때 발생하는 4,400원의 수수료는 공인인증서 발급 시 1회만 발생하고, 모든 공인인증서의 사용기한은 1년입니다. 

▶ 타행/타기관 공인인증서란?

인터넷 공인인증센터나 KB스타뱅킹 또는 다른 은행의 휴대폰 애플리케이션을 보면 '타행/타기관 공인인증서 등록/해제'라는 목록을 보셨을 것입니다. 아마 보통의 직장인들이라면 최소한 2~3개의 은행을 사용하고 있을 텐데요, 다른 은행에서도 인터넷뱅킹을 사용하겠다고 해서 각 은행마다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으려면 귀찮기도 하고 불편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어떤 은행이든지 공인인증서를 발급한 고객이 해당 공인인증서로 다른 은행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도록 은행들끼리 연결이 되어있으니, 각 은행별로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지 말고 '타행/타기관 공인인증서 등록'을 통해서 편리하게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PC에서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를 발급 받을 때 PC의 하드디스크 또는 USB 메모리를 선택해서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데요.

휴대성을 위해서 USB에 공동인증서를 복사했을 때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기기에서 공동인증서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공동인증서를 복사해서 여러 기기에서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은행 사이트에서 공동인증서를 복사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여러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하고 인증을 거쳐야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공동인증서 파일을 찾아 사용자가 직접 복사하면 아주 간단하게 끝나는 작업입니다.

  • 공동인증서 저장 위치 NPKI 폴더 찾기
  • 공동인증서를 복사하는 방법

공동인증서 저장 위치 NPKI 폴더 찾기

공인인증서는 NPKI 폴더 안에 저장되며 범용인증서, 세금계산용 공동인증서 모두 같은 폴더에 저장됩니다.

NPKI 폴더를 통째로 복사해서 하드디스크, USB, 스마트폰과 같은 매체로 옮기면 하나의 공인인증서를 여러곳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참고

PC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는 여러 앱에서 NPKI 폴더에 접근해 공동인증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용폴더의 개념이지만 아이폰은 샌드박스 정책 때문에 NPKI 폴더를 복사할 수 없으므로 아이폰은 은행앱에서 제공하는 공동인증서 복사 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1. PC에서 공동인증서 저장 위치 찾기

%userprofile%\appdata\locallow

파일 탐색기를 연 다음 위 경로를 붙여넣으면 숨김으로 된 사용자 폴더 내부로 접근합니다.

해당 경로에서 NPKI가 공동인증서가 저장된 폴더입니다.

2. USB에서 공동인증서 저장위치 찾기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을 때 USB에 저장했다면 USB 메모리의 루트 경로에서 바로 NPKI 폴더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3. 스마트폰에서 공동인증서 저장위치 찾기

스마트폰의 파일 탐색기 앱을 실행한 다음 내장 메모리 루트 폴더로 이동하면 NPKI 폴더를 찾을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를 복사하는 방법

1. PC 하드디스크에 있는 공동인증서를 USB로 복사하기

공인인증서 위치를 확인했다면 NPKI 폴더를 복사해 옮기기만 하면 됩니다.

만일 PC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공동인증서를 USB로 복사하고 싶다면 %userprofile%\appdata\locallow 경로에 있는 NPKI 폴더를 복사한 다음 USB 메모리의 최상단에 NPKI 폴더를 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2. PC에 있는 공동인증서를 스마트폰으로 복사하기

PC에서 스마트폰으로 공동인증서를 복사하려면 PC와 스마트폰을 USB 케이블로 연결한 다음 탐색기에서 스마트폰을 선택합니다.

스마트폰의 내장메모리로 이동하면 루트 폴더가 보이는데 여기에 PC에서 복사한 NKPI 폴더를 스마트폰 루트 폴더에 붙여넣기 합니다.

갤럭시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했지만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내장된 탐색기를 이용해 따라하면 됩니다.

만일 USB 케이블이 없다면 PC에서 NPKI 폴더를 압축해 이메일 또는 카카오톡으로 파일을 전송해 스마트폰에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스마트폰의 탐색기에서 NPKI.zip 파일의 압축을 푼 다음 NPKI 폴더를 길게 터치해 이동을 선택합니다.

내장메모리 루트 폴더로 이동한 다음 ‘여기로 이동’을 선택하면 NPKI 폴더가 루트로 이동됩니다.

3. 스마트폰에 있는 NPKI 폴더를 PC로 복사하기

스마트폰의 탐색기 앱을 실행한 다음 NPKI를 길게 터치 > 더보기 > 압축을 선택합니다.

NPKI.zip 파일을 길게 터치한 다음 공유 버튼을 선택합니다.

이메일 또는 카카오톡을 통해 NPKI.zip 파일을 전송한 후 PC에서 다운로드 받아 %userprofile%\appdata\locallow 경로에 복사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