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회로이론 답지 - gichohoeloilon dabji

제 3 장 저항회로

3-

(a) 1메시, 2노드 (b) 2메시, 4노드 (c) 3메시, 4노드

3-

(a) 



[V]일 때,

그림으로부터, 



















= 6+(-3)+1+4= 8[V],







= 6+(-3)= 3[V], 또한 









=

6+(-3)+1=4[V], 













=6+(-3)+1+4+(-8)=0[V].

(b) 



일 때,



, 



, 



,









(c)  

일 때,











, 나머지는 모름.

3-

위의 그림에서

(a) 노드 A에서 KCL에 의하여, 



, 그러므로 





또한, 노드 C에서 





 이므로, 위의 결과를 대입하여,





 그러므로 



, 또한 노드 B에서, 



이므로,







(b) 만약 



라면, 



이고, 



이다. 그러므로, 노드 C에서,

KCL에 의하여, 







 이므로, 



, 또한, 노드 D에서,







 이 된다.

3-

5, 9, 1  저항을 더하고 10 저항을 병렬로 하면,





×

= 6.

다시, 이 6 저항과 4, 2 저항을 더하고 4 저항과 병렬로 연결하면,



×

= 3 

그러므로, 최종





3-

위의 그림에서 













 이고, 따라서 전체

전류 





이 된다. 그러므로 구하려고 하는 

는 전류분배 법칙에 따라,

×

×



×







 이 된다.

3-

3-

회로를 수정하여 전류분배법칙을 적용하면,









이 되고, 



를 대입하여 R 에 대한 수식으로 정리하면,





이 되어 결국, 





 이 된다.

3-

옴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이고 











이므로,





이 된다. 또한 30에 흐르는 전류 









따라서, 노드

d 에서의 전류는,  









이다.

또한, 







와 







이므로, 







가 되고, 15에 흐르

는 전류 







이므로, 노드 b에서의 전류의 합은



이 된다.

이때, 







이고, 











이므로, 





가 된

다. 이제 먼저 얻은 결과인 





를 대입하면, 





결국, 



으로 부터 









의 관계를 얻는다,

3-

회로의 가장 가장자리 루프에 대한 KVL를 적용하면,

(전압강하분의 합)=(전압상승분의 합) 즉, 









 이 되므로,



 가 된다.

3-

위의 회로에서 메쉬전류 





에 대한 수식을 찾으면, 문제로부터 

 이 되고,

메쉬 3에서 KVL : 







 이 되고, 이 수식에 

을 대입하면,





이 된다. 따라서 



×





3-

(a) 



×



(b) 



×



×

×





(c)  





×

3-

에 의한 5개의 연립방정식을 세우면, 먼저, KCL에 의하여

노드 A에서, 





, 노드 B에서, 

, 노드 C에서 

KVL에 의하여, 루프 에서, 



, 루프

에서, 







이 되고, 이들로부터,

, 



, 





 가 되고, 에 흐르는 전류 



 가 된다. 즉, 전

체 회로에 흐르는 전류 I= 61/5 [A] 이다.

3-

(a) 회로에 흐르는 전류 I를 시계방향으로 정의하고, 이를 구하기 위한 KVL 식을 구하면,





×

, 그러므로, 

, 따라서, 







,





, 







(b) 소자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력은 p=vi 이므로,

전원









, 



 







,



 ,

가운데 있는 10

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력

 





이 된다.

또한, 

 가 되고, 따라서 회로에서 50에 흐르는 전류는





 가 된다,

위의 회로로부터, 우측의 10에 흐르는 전류 







 가 되고, 결국,

10 에서 소비하는 전력 

 

 이 된다.

3-

KVL을 적용하면, (전압전원들의 합)=(전압강하분의 합) 즉, 



이때, 100 에 걸리는 전압은 100i 가 되므로  

대신에 대입하면,

 그러므로, 





 가 된다.

(a) 따라서, 100 저항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력은 

 



(b) 300V 전원에 의하여서는 생산되는 전력이므로, 소비되는 전력은 음수값을 가진다.

즉, 











 을 소비한다.

(c) 마찬가지로 종속 전원 역시 음수값의 전력을 소비함으로,







, 이때, 







 이므로, 대입하면,













 을 소비한다.

3-

(a) 위의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얻은 회로에서, 

 







 , 그러므로

전류전원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력은  가 되고,

(b) 900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력은 





 이다,

3-21[도전문제]

비선형저항의 전류와 전압의 값은 아래의 5V 전압과 2 저항의 직렬회로에 흐르는 전류

와 전압과 같으므로, 이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 가 되고, 이 것을 iv 곡선상

에 그리면,

그러므로,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  는 원래의 비선형소자의 iv 곡선과 이 직선과 만나는

점에서만 가능한 값을 가진다.

즉, 3개의 포인트, 



 의 값이 가능하다.

3-22[도전문제]

노드1에서, KCL : 







, 이때, 



, 그러므로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