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주력 장비 - eopeullaideu meotilieoljeu julyeog jangbi

<앵커>

뉴욕증시 A to Z, 조연 기자와 함께 합니다.

오늘 이야기 해 볼 종목, 어떤 기업입니까?

<기자>

최근 미국은 물론이고, EU까지 반도체칩법 제정하면서 압도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죠. 그야말로 반도체 패권 전쟁이 치열한데, 여기서 수혜가 기대되는 종목은 어딜까요? 물론 삼성전자나 인텔, TSMC 반도체 기업들이 있겠습니다만, 누가 이기든 이 회사들에게 제품을 파는, 바로 반도체 제조 장비 기업들입니다.

글로벌 반도체 장비 기업의 3대장이 있는데, 이 중에 저희가 `갑도 이기는 슈퍼 을`이라 불리는 ASML을 다룬 적이 있죠. ASML이 독보적인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었다면, 오늘 가져온 기업은 다양한 제품군으로 시장을 압도하는 글로벌 반도체 장비 매출 1위 기업입니다. 티커명 AMAT,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에 대해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앵커>

반도체 장비 3대장이 누군가요?

<기자>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와 ASML, 그리고 램리서치입니다.

매출 기준으로는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가 1위, 시총 기준으로는 ASML이 1위입니다. 여기에 도쿄일렉트론까지 4대 기업으로도 분류되는데, 이들이 전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앵커>

각자 잘하는 분야가 다르죠?

<기자>

네. 반도체 생산과정은 크게 8가지의 공정으로 나뉘는데요. 여기서 흔히 앞, 전공정이 기술력을 요합니다. 국내 기업들도 이 부분은 대부분 외국 장비에 의존하고 있는데요. 노광장비는 ASML이 사실상 장악하고 있는 부분이고, 램리서치의 경우 식각장비에서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는 증착 공정에서 두드러지는데, 증착 뿐만 아니라 산화, 식각, 이온주입, CMP, 금속 배선 등 전반적으로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많은 장비를 생산해내고 있습니다. 제품 종류만 90개에 달합니다.

<앵커>

식각은 반도체 회로(웨이퍼)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부식시켜서 깎아내는 작업이고,

증착은 반도체의 표면에 얇은 막을 덮는 공정이죠. 그중에서도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는 증착에 강점이 있다는 것인데,

그런데 이 기업이 성장해 온 방식이 단순히 기술경쟁력 만이 아니었다면서요?

<기자>

1967년, 그러니까 설립된지 55년이 된 기업인데요. 두가지 눈에 띄는 점이 있는데요.

먼저 첫번째는 공격적인 인수합병을 통해서 성장해 왔다는 점입니다. 전공정에 걸쳐진 다양한 제품군을 내놓을 수 있었던 것도 바로 M&A 덕분이죠.

이 회사의 코어가 되는 시작점은 1980년대 만들어진 프리시전 5000이라는 화학기상증착 장비인데, 증착공정에 혁신을 이룬 장비(현재 미 워싱턴에 있는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에 전시)였습니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는 반도체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증착 분야에서도 1위입니다. 다만 디스플레이의 경우 업황이 좋지 않아 매출 규모가 줄었습니다.

1996년 이스라엘 오팔 테크놀로지스, 오봇 인스트루먼츠 두 회사 인수를 시작으로, 고속 계측 시스템, 검사 기술, 레이저빔 리소그래피 기술, 레이저 세정 기술 등을 확보하고, 2011년에는 베리언 세미컨덕터라는 이온주입 장비 공급 업체를 인수했습니다. 지금의 CEO가 바로 베리언 세미컨덕터 CEO 출신이죠. 태양광 장비 업체도 공격적으로 인수해 최대 태양광 장비업체로 올라서기도 했구요.

그리고 2013년에는 앞서 얘기했던 4대 반도체 장비회사, 도쿄일렉트론과 합병을 추진했지만 독점 우려로 무산됐고, 최근에는 2019년 일본 히타치 그룹에서 분사된 코쿠사이 일렉트릭 코퍼레이션 인수를 통해 증착장비시장의 점유율을 키우려 했는데 이 역시 중국의 반대로 역시 무산됐습니다.

<앵커>

최근 엔비디아의 ARM 인수합병도 무산됐죠. 반도체 산업이 M&A로 크던 시대는 끝난 것 같은데,

그렇다면 나머지 하나 눈에 띄는 점은 뭡니까?

<기자>

아시아 시장에 대한 진출이 빨랐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아시아 마켓 매출 비중이 큰데요.

1979년에 일본에 법인을 설립했고, 일본에 기술센터, 중국에서 서비스센터를 가장 먼저 개설한 최초의 글로벌 반도체 장비회사입니다. 대만에는 1989년, 그리고 한국에는 1993년에 법인이 설립되면서 아시아 시장 공략을 확대했습니다.

이 같은 아시아 집중도는 지금까지도 이어지는데요. 아시아 매출 비중이 80% 이상입니다. 중국이 29%, 대만이 26%, 일본 12% 한국이 최근 줄어들어서 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대 고객사는 TSMC와 인텔입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는 것처럼 TSMC와 인텔이 대규모의 투자 계획을 지난해 밝혔었죠. TSMC는 올해에만 400~440억달러(약 48~52조원) 설비 투자를 예고했고, 인텔은 앞으로 10년간 1000억달러(약 120조원)을 들여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반도체 제조 단지를 만들겠다고 했습니다. 이에 대한 수혜를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가 톡톡히 누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지난 분기에는 실적발표하고 주가가 떨어졌어요.

요즘 반도체 주문이 폭주하는 시기인데 왜 떨어진겁니까?

<기자>

수요에는 문제가 없죠. 관건은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공급을 갖고 있느냐 인데, 반도체 장비 역시 이 공급망 병목 현상, 부품 부족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분기 실적은 매출이 31% 증가하고 영업이익률이 33%에 육박하는 등 전체적으로 나쁘지 않았는데,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며 당일 주가가 20% 넘게 급락했었습니다.

이때 게리 디커슨 CEO는 "특정 실리콘 부품들이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며, 공급 부족이 없었다면 3억달러 매출이 더 증가했을 것"이라고 설명했었는데요. 지난달에 앞서 실적 발표한 램리서치도 공급망 여파를 피하지 못해서, 이번주 발표하는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어닝에 시장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16일 장 마감후 발표 예정인데, 월가에서는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주당순이익 $1.85로 전년대비 33.1% 성장을 전망하고 있는데, 이는 지난 한달 동안 0.28% 더 상승한 수치입니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실적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더 높아졌다는 뜻이겠죠.

시티그룹은 올해 반도체 섹터 톱픽으로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를 꼽았고, 제프리스는 목표주가는 197달러, 미즈호는 178달러로 상향했습니다. 현재 주가 133달러 선인데요. 평균 월가 IB들의 목표가가 180달러, 현재가 대비 35% 추가 상승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호재와 악재를 간단하게 짚어 볼까요?

<기자>

회사 주가를 길게 보면 팬데믹 기간 2020년 하반기부터 급격히 올랐습니다. 여기에 반도체 장비의 리드 타임이 1년 수준으로까지 길어지고 있어서 당분간 장비 쟁탈전에 가격 경쟁력 부분도 더 공고해질 것이란 전망입니다. 물론 M&A를 통한 시장 지배력 확대 전략은 앞으로 어려워지겠지만, 최근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는 장비판매 이외의 유지/보수 구독사업모델을 내놓았거든요. 이를 새로운 먹거리로 내놓는 모습입니다.

또 다른 호재는 바로 미 정부의 전폭적 지지 인데요. 바이든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가장 먼저 챙긴 산업도 바로 바로 반도체였죠. 바이든 대통령이 역점을 둔 520억달러 규모의 반도체 산업 육성 관련 법안이 지난주 미 하원을 통과했습니다. 이제 상원으로 송부돼 올 1분기 중 최종 통과될 전망인데, 반도체 제조시설의 설립, 증설, 현대화 등에 대폭적인 금융 지원에 나서는 만큼 혜택이 기대됩니다.

악재로는 앞서 언급한 부품 부족현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이슈가 반도체 섹터 전체를 누르고 있다는 점입니다. 반도체 주요 원자재 중 하나인 네온의 90%가 우크라이나에서, 또 다른 원자재, 팔라듐은 35% 가량이 러시아로 부터 공급되는데, 백악관이 이미 미 반도체 기업들에게 다른 공급처를 확보하라는 주문까지 한 것으로 보도되었죠. 장비 기업들에 직접적인 영향은 아니지만, 한 섹터로 움직이다 보니 당분간 주가를 누르는 악재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입니다.

<앵커>

네. 뉴욕증시 A to Z, 조연 기자였습니다.

미국 주식에 관심 있는 분들이 테슬라, 빅테크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자금을 투입하는 섹터는 반도체입니다. 예탁원에서 확인 가능한 결제 그맥 상위 종목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개별주는 펩리스의 엔비디아, AMD 파운드리의 TSMC, 장비 기업으로는 네덜란드의 ASML (ADR) 가 있으며 ETF로는 SOXX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추종), SOXL (반도체 지수 3배)가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티커를 제외하면 반도체 기업은 보이지 않습니다. 반도체 섹터의 대다수는 소비자와 직접 거래하지 않는 B2B 기업들이기 때문입니다. 

ASML은 예탁원 보관금액 기준 TOP50위권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특히 오늘 알아볼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의 (Applied Materials) 경우 반도체 장비 업계에서 위상을 생각했을 때 투자자들의 관심도는 매우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미세공정에 필요한 EUV 노광기가 주목받으며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 ASML의 인지도와 투자 규모는 증가했지만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비슷한 규모이며 글로벌 반도체 장비 제공 점유율 또한 매년 엎치락뒤치락이지만 AMAT의 점유율이 더 높을 때가 더 많습니다.

미국 반도체 장비 기업 Applied Materials 기업 분석

1. 점유율은?

2. 투자 포인트

3. 배당은?

4. 향후 전망

미국 반도체 장비 기업 Applied Materials 기업 분석

1. 점유율은?

ASML이 포토 공정, AMAT는 증착 공정, 램리서치의 경우 식각, KLA의 경우 결함 검사라고 시험지 답안 외우듯이 알고 있지만 ASML도 주력인 DUV, EUV 노광기 외에 YieldStar 라는 계측 장비 라인업이 있으며 램리서치 역시 CVD, Metal 증착 공정 설비를 갖추고 있습니다.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역시 증착 (CVD, ECD, 스퍼터링, 에피택시), 식각, CMP, 이온주입, 디퓨전 (Diffusion) 등 전공정에서 다양한 설비를 생산 및 제공하고 있습니다. 

ASML,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도쿄 일렉트론 (TEL), 램리서치, KLA

스퍼터링 (sputtering) 장비에서는 램리서치 알박 (ULVAC), 캐논을 제치고 70% 가량의 점유율을 갖고 있으며 CVD에서는 램리서치, CMP에서는 에바라제작소와 점유율을 양분하고 있습니다. 폭넓은 공정에 걸쳐 반도체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의 도쿄일렉트론과 비슷합니다. 이러한 장점을 통해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는 글로벌 반도체 장비 업체 점유율 1위로 시장을 리드하고 있으며 그 뒤로 ASML, 도쿄 일렉트론, 램리서치, KLA가 순위를 이룹니다.

2. 투자 포인트

앞서 언급했듯이 AMAT는 전공정에서 여러 공정에 설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 공정에만 치중되지 않은 게 투자 리스크를 줄여 준다고 생각합니다. 사례를 들자면 포토 공정에서 일본의 니콘과 캐논이 장악하던 때가 있었지만 현재는 네덜란드의 ASML에게 추격 당했습니다. 하지만 AMAT는 적극적인 인수합병을 통해 여러 공정에서 시장 점유율을 늘렸기에 특정 공정에서 경쟁 기업에게 추격당한다고 여러 공정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기에 니콘과 캐논처럼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또한 아래 비교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는 매출과 영업이익 즉, 실적 부문에서 ASML과 큰 차이가 없지만 시가총액에서는 ASML이 AMAT보다 두배 더 큽니다. 미세공정에서 확고한 독점 지위를 굳혔기 때문에 멀티플에 프리미엄이 붙었지만 올라운더에 가까운 AMAT의 제품 라인업과 ASML과 대등한 실적의 규모임을 생각했을 때 AMAT는 저평가 받는 중이라고 생각할 여지가 존재합니다. (가장 마지막 거래일자 기준으로 PE RATIO AMAT 15.41배, ASML 39.75배)

AMAT와 ASML의 최근 5년 실적 비교

투자 포인트 요점 정리

  1. 반도체 여러 공정에서 장비를 공급
  2. 시장을 리드하고 있으며 설령 경쟁 기업에 특정 설비의 경쟁력을 잃는다고 해도 위에 언급한 요소로 인해 니콘 캐논과 같은 전철은 밟지 않을 것으로 기대
  3. 반도체 장비 업계 점유율 1위이며 실적에서도 ASML과 대등한 것에 비해 주가는 상대적으로 싸다고 볼 수 있음

3. 배당은?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는 2005년부터 주주들에게 분기별로 현금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매년 2월 5월 8월 11월에 배당락일이 발표되며 배당금은 3월 6월 9월 12월 중에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당금은 지급하기로 한 이래로 감소된 적이 없지만 일부 기간 동안 배당금이 동결된 적이 있습니다. (2008~2009년, 2014~2017년)

최근 배당금

4. 향후 전망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ASML, 램리서치, KLA, 도쿄일렉트론 등 반도체 장비 업체는 TSMC, 삼성전자, 인텔 마이크론, SK하이닉스, 키옥시아 등 반도체 생산 업체에 장비를 납품할 때 통해 매출을 발생시킵니다. 그리고 실적의 더 나은 실적을 내는 것은 반도체 생산 규모가 확장되어야 성립될 수 있습니다. TSMC, 삼성, 인텔 등 기업의 공장 설립한다는 기사는 많이 보도되고 있죠. 결국 설립되는 반도체 공장에는 장비 업체들의 설비로 채워지게 되며 자연스럽게 반도체 장비 부문 역시 성장할 수 있다는 전망이 그려집니다.

자료 : 삼성증권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