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까투리 안동 - eomma kkatuli andong

숲 속 마을에 동물원…어린이 꿈과 상상력 공간으로

엄마까투리 [안동시청 제공=연합뉴스]

(안동=연합뉴스) 이강일 기자 = "엄마까투리 고향은 안동입니다"

경북 안동 출신 아동문학가 고 권정생 선생이 쓴 동화 '엄마까투리'를 소재로 한 놀이터가 안동에 생긴다.

권정생 선생 마지막 작품으로 알려진 엄마까투리는 어미 꿩의 모성애를 다룬 동화로 2011년 극장용 애니메이션이, 2015년에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만들어져 어린이들에게 인기를 끌었다.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지난해 베트남에 수출됐다.

또 국악 뮤지컬로도 만들어져 전국을 돌며 공연하기도 했다.

안동시는 엄마까투리가 안동을 대표하는 캐릭터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시내에 '엄마까투리 상상놀이터'를 만들기로 했다.

어린이와 부모들이 엄마까투리는 알지만 엄마까투리가 안동에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이 없기 때문이다.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배경 공간을 놀이터로 만들어 놀이와 감성, 자연교육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엄마까투리 [안동시청 제공=연합뉴스]

놀이터는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숲 속 마을처럼 꾸미고 미니 동물원을 만든다.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주인공 꿩 가족(엄마·마지·두리·세찌·꽁지)과 다람쥐, 미꾸라지, 달팽이, 딱따구리, 고슴도치, 너구리, 염소, 멧돼지, 무당벌레 등 다양한 동물과 곤충을 보거나 만져볼 수 있다.

어린이를 위한 캐릭터 모양 미끄럼틀 등 놀이시설과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는 미니극장도 만든다.

캐릭터가 그려진 포장지를 사용한 먹을거리 상품도 개발해 판매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

시는 타당성 조사 용역에 이어 오는 8월께 지방재정투자 심사를 거쳐 사업비를 확보한 뒤 2020년 공사에 들어간다.

시는 어린이들 꿈과 상상력이 펼쳐지는 공간이 생기면 유아 관광 수요가 늘어나 관광객 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안동시 관계자는 "엄마까투리가 안동을 대표하는 캐릭터로 자리 잡으면 완구 등 유아 산업 분야에서 많은 부가가치가 생겨날 것이다"고 말했다.

엄마까투리 캐릭터 안동시내버스 [안동시청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8/04/27 07:32 송고

안동서체는 누구나 무료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영상, 인쇄, 인터넷, 모바일 등의 다양한 매체에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며 특별한 허가 절차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안동서체를 유료로 양도하거나 판매하는 등 상업적 행위는 금지하고 있으며 전용 서체를 불법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위 사용범위는 참고용으로, 정확한 사용범위는 이용 전 확인바랍니다. 
    사용범위는 서체 제작사의 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동시 전용서체 | 안동의 상징 | 안동시 소개 | 안동 소개

안동시 전용서체 서체 개발배경 안동시 전용서체는 지역에서 탄생한 대표적인 캐릭터인 ‘엄마까투리’와 국내에서 가장 긴 목책 인도교인 ‘월영교’를 모티브로 하여 안동을 알리고 시민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기 위해 제작하였습니다. 안동서체 저작권 안동서체는 누구나 무료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영상, 인쇄, 인터넷, 모바일 등의 다양한 매체에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며 특별한 허가 절차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안동서체를 유료로 양도하거나

www.andong.go.kr

1안동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권정생의 그림책 <엄마 까투리>(2008), 애니메이션 영화 <엄마 까투리>(2011), EBS 애니메이션 시리즈 <엄마 까투리>(2016)를 ‘엄마 까투리 콘텐츠’라는 용어로 포괄하여 시계열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안동–로컬리티가 구현되는 양상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림책 <엄마 까투리>는 권정생의 직‧간접적인 체험을 서사화 시킨 결과물로서, 작품에서는 ‘안동적인 것’이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동을 권정생의 고향으로, <엄마 까투리>를 안동의 이야기로 간주하고자 하는 외부 시선이 개입되면서 안동–로컬리티를 부여하고자 하는 욕망의 근원이 만들어졌다. 이후, 그림책이 애니메이션 영화로 재창작되면서 그런 욕망은 가시화되며, 안동–로컬리티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가 발견된다. 그러나 안동–로컬리티를 구현하고자 하는 주체의 외재성으로 인해, 로컬리티가 모호해질 수 있다는 역설도 함께 드러난다. 애니메이션 영화의 성공 이후, EBS 애니메이션 시리즈 <엄마 까투리>가 제작되면서 안동과 경상북도 사이에서 로컬리티를 둘러싼 갈등이 빚어진 것이다. 콘텐츠 자체의 영향력은 강해졌지만 엄마 까투리 콘텐츠를 둘러싼 로컬리티는 유동적이고 갈등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이런 양상은 로컬리티가 구현되는 원리를 보여주게 된다. 하나는, 로컬리티가 해당 지역의 자연과 전통을 담아냄으로써 가시화된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로컬리티를 구현하기 위해 서사 내로 견인했던 자연과 전통이라는 요소가 해체되고 재구성되는 가운데, 현대 매체와 대중문화가 로컬리티를 구성하는 하나의 중심축이 된다는 것이다. 이런 두 가지 양상은 로컬리티가 가지고 있는 개방성이라는 속성을 여지없이 보여준다. 로컬리티는 항상 임시적이고, 언제나 만들어지는 과정에 놓여 있으며, 갈등적인 상황에 놓여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how to Andong-locality is embodied in Katuri’s mom contents. Katuri’s mom contents contain a picture book <Katuri’s Mom>(2008) written by Kwon Jungsaeng, animation movie <Katuri’s mom>(2011) mainly producted by Andong visual media center and EBS animation series <Katuri’s mom>(2016). By time series analysis, it is possible to study aspects how Katuri’s mom contents embody Andong-localities In a picture book <Katuri’s Mom>, there is no any narrative factor in the text itself though it is originated by (in)direct experiences of an author Kwon Jungsaeng who has represented Andong. The external intention has been interfered in order to treat a picture book <Katuri’s Mom> as a story of Andong and this becomes an origin of desire of Andong locality. After an animation movie <Katuri’s mom> released, the desire comes visualized by showing explicit Andong’s elements like a Kwon Jungsaeng character, his birthplace, landscape of his village, names of Hahoe masks, Andong traditional performance and so on. It is not dissolved into the text so it is able to say Andong locality is crammed in an animation movie <Katuri’s mom>. On the one hand an externality of a subject of locality can show directly what Andong locality is, but on the other, Andong locality can be ambiguous paradoxically. EBS animation series <Katuri’s mom> is the proper example. When producers are plural and the subjects of locality are out of Andong area, the locality around Katuri’s mom contents become contested. These aspects point some specific principals of locality. The stress that has been laid here on the openness of localities, on their construction on the basis of links to the outside rather than demarcation from it, inevitably raises the issue of boundari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localities in the sense discussed here are always provisional, always in the process of being made, always contested.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Katuri’s mom contents, locality, Andong, Kwon Jungsaeng, a picture book <Katuri’s Mom>, animation movie <Katuri’s mom>, EBS animation series <Katuri’s mom>

피인용 횟수

  • KCI 0회

  • 343 회 열람
  • KCI 원문 내려받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