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곤즈 도그마 ENB 설정 - deulaegonjeu dogeuma ENB seoljeong

ENB는 사양을 좀 타므로 780 혹은 900번대 이후 카드에서 사용하시면 효과가 좋습니다.

시작 후 첫로딩이 살짝 길어지고 10~15프레임을 먹습니다.

다크어리즌 넥서스모드로 갑니다.

친절하게 카테고리란에 ENB프리셋이 있습니다.

정렬기준(sort by)을 최대 다운로드 혹은 추천으로 바꿔서 보면 수만번 다운로드된 굿-ENB프리셋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루디ENB를 기준으로 글을 쓰겠습니다.

(여러 ENB나 리쉐이더를 써봤지만 개인적으로 루디가 가장 나은 것 같습니다)

01. 메인파일의 1.5버전을 받습니다.

//www.nexusmods.com/dragonsdogma/mods/77/?

02. ENB사이트에서 0.3버전을 받습니다.

//enbdev.com/mod_dragonsdogma_v0300.htm

03. 0.3버전의 압축을 풀면 "WrapperVersion" 과 "InjectorVersion" 이렇게 두 폴더가 나옵니다.

    "WrapperVersion" 폴더에서 "d3d9.dll" 파일만 빼와서 바탕화면에 둡니다.

04. 루디ENB 1.5버전의 압축을 풀고 바탕화면에 두었던 "d3d9.dll" 파일을 압축해제한 루디ENB 1.5버전 폴더에 붙여넣습니다.

05. 루디ENB 1.5버전 폴더의 내용물을 모두 빼내어 DDDA.exe가 있는 스팀(혹은 gog)폴더에 붙여 넣습니다.

우선 기본적인 적용은 끝났습니다.

이제 세부적인 사항을 들여다봅시다. 모더분의 설명을 기초로 이야기하겠습니다.

01. 인게임옵션을 최고사양으로 맞추시고 꼭 HDR이 High로 되어있나 확인하세요.

02. ENB카메라 FOV는 모더가 디폴트 설정을 5로 해놨답니다. 초점이나 피사계심도에 영향을 주므로 인게임 카메라 FOV도 5로 맞춰주시면 됩니다.

02-1. FOV값을 수정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설명을 봐주세요.

       게임실행후, shift + enter를 누르면 ENB설정창이 나옵니다. 우측에서 enbeffectprepass.fx를 찾아주세요.

       여기서 AF x/y축을 0.5가 아닌 원하시는 숫자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카메라 FOV를 10으로 하시고 x/y축을 1.0하시면 됩니다. (최대가 1.0입니다)

       수정하셨으면 꼭 좌측상단의 세이브를 눌러주세요.

       이 부분은 저도 확신은 못 하겠지만 저렇게 바꿔보니 초점이나 이펙트적용이 제대로 되긴 했습니다. 

03. 피사계심도(DOF)는 두가지 버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그냥 DOF이고 둘은 game DOF입니다.

    개인적으로 game DOF는 원거리가 너무 뿌옇게 보여 비추합니다.

03-1. 그냥 DOF의 경우에는 게임옵션에서 피사계심도 항목을 OFF로 해두시고 ENB설정창에서 좌측하단에 DOF옵션을 켜주시면 됩니다.

       수정이 끝났으면 좌측상단의 세이브를 누릅니다.

03-2. Game DOF의 경우, 인게임에서 피사계심도를 켜고 ENB설정창에서 Game DOF옵션을 켜주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수정이 끝나고 세이브!

추가적으로 모드 Don't Bline me를 설치하시면 불 및 빛 이펙트가 뿌옇게 되는 걸 방지할 수 있습니다.

//www.nexusmods.com/dragonsdogma/mods/39/?

굉장히 어려워 하시는데, 쉽습니다.

먼저 원하는 enb 프리셋을 받습니다. 어디서 enb를 받으시는지 모르겠으나 개인적으론 넥서스에서 직접 받는걸 추천합니다.

그 이유는 enb설치에 대한 기본정보를 모더가 다 적어주기 때문입니다.

넥서스에서 enb 프리셋을 받으셨다면, 이제 enb 프리셋을 구동시켜줄 코어 파일을 받아야 합니다.

enb개발자 홈페이지는 //enbdev.com/ 이며,

그중에서 드래곤즈 도그마의 경우에는 //enbdev.com/download_mod_dragonsdogma.htm 입니다.

그럼 여러가지 버전이 존재하는데 먼저 넥서스에서 받으신 enb 프리셋의 모더가 어느버전의 enb코어 파일을 썼느냐를 알아야 합니다.

그건 모더가 직접 적어주기 때문에 거기에 맞는걸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넥서스 메인 페이지에 걸려있는 Resonant ENB 의 다운로드 항목을 보면,

Resonant ENB V1.2의 경우엔 enb코어파일 V0.297을 사용하였고,

Resonant ENB V1.31의 경우엔 enb코어파일 V0.299를 사용하였네요.

저는 1.31버전을 쓴다고 가정하고 enb홈페이지에서 V0.299를 다운받습니다.

다운 받은 압축 파일 내엔 InjectorVersion 폴더와 WrapperVersion 폴더가 있는데, 엔드유저인 우리들은 그냥 다른거 다 신경 끄고팝콘이나 먹으면 됩니다. WrapperVersion 폴더내의 d3d9.dll 파일만 꺼내오면 됩니다.

꺼내온 d9d.dll 파일과 압축된 Resonant ENB 프리셋을 압축을 푼 다음 실행파일이 있는(DDDA.exe) 곳에 다 넣어줍니다.

그럼 끝.

enb가 적용중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마 게임을 실행하고 나면 좌측상단에 enb구동과 관련된 메시지가 뜰겁니다.

그리고 Resonant ENB의 디스크립션 항목을 보니

Make sure HDR in-game is set to High or ENBseries will not work. 

Disable depth of field in-game for best effect.

라고 적혀있네요.

설명에 맞게 인게임에서 해당 옵션들을 조정해주시면 완료될거 같습니다.

설치방법이 이것보다 복잡한건 아마 스카이림의 enb 설치 방법을 읽으셔서 그럴겁니다.

원래는 드래곤즈 도그마처럼 쉽게 설치를 해야 정상인데, 스카이림이 좀 유난하게 복잡합니다. -_-;;;

요 아래부터는 enb에 대한 부정적인 글이므로 안 읽으셔도 됩니다.

개인적으론 enb 그다지 좋아하지 않습니다. enb가 지원되는 후보정 기능이 상당히 많고 무엇보다 광원효과가 독보적이긴 하지만, 비주얼을 좀 좋게 해주는 댓가로 하드웨어 성능을 너무 많이 깎아 먹습니다.3세대 이상의 i7 에 980 Ti 슬라이 정도 쓰시는 분들은 티도 안나겠지만

또다른 문제는 enb 프리셋을 업로드 하는 모더들이 자신의 머신 기준으로 프리셋 세팅을 한다는 점입니다. 모더의 하드웨어 사양과 받는 사람의 하드웨어 사양이 다를경우, 심각한 퍼포먼스 하락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결국 enb세팅 방법을 공부하게 되죠.

그래서 개인적으론 이런 이유들로 인해서 주변에 게임하는 분들에겐 enb추천 안합니다.

참고로 전 ReShade 씁니다. enb에 비하면 후보정 기능이 밋밋하긴 하지만, 범용적인게 큰 장점이죠. 물론 ReShade 역시 어느정도 세팅 방법을 공부해야 하기는 하지만, enb와 달리 디테일하게 파고들지 않아도 되고, ReShade가 자체적으로 게임에 맞는 코어 파일을 뱉어주기 때문에 개발자가 해당 게임의 코어 파일을 만들어주길 오매불망 기다리지 않아도 됩니다.

게다가 스윗FX와 완벽하게 호환되고요. 물론 ReShade 프리셋 역시 넥서스에 올라가 있습니다. 일부지만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