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전월드 룰북 pdf - deonjeon-woldeu lulbug pdf

던전월드 한국어 공개판 (2013/04/20 버전)

던전월드 한국어 공개판은 세이지 라토라 (Sage LaTorra)와 아담 코벌 (Adam Koebel)의 Dungeon World를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3.0 Unported 라이선스에 의거하여 도서출판 초여명의 김성일이 번역한 작품입니다.

던전월드 한국어 공개판 역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3.0 Unported 라이선스로 공개됩니다. 저자 (세이지 라토라, 아담 코벌)와 번역자 (김성일, 도서출판 초여명)를 밝히면 자유로이 변형, 전재,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버전 노트

2013/04/05: 사이트가 개설되었습니다.

2013/04/14: 액션 항목에 추가 설명과 예시가 붙었습니다.

2013/04/20: 플레이의 예 항목이 신설되었습니다.

2013/08/05: 플레이키트가 올랐습니다.

2013/09/18: 던전월드 가이드 링크를 붙였습니다.

절찬리 판매중!

RPG 전문 출판사 도서출판 초여명에서는 내용을 보강하고 제대로 편집을 하여, 2013년 8월에 던전월드 국문판을 책으로 정식 출간했습니다. 삽화가 들어간 풀컬러 책입니다.

전국 대형서점과 RPG 서적 및 용품 전문점인 알피지스토어에서 책을 구해 보실 수 있습니다. 알피지스토어에서는 주사위를 비롯한 각종 RPG용품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정식으로 책이 나왔다고 해서 이 공개판이 없어지지는 않습니다. 마음 놓고 사용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한국에서 RPG 사업을 하기 어려운 큰 이유 하나는 책에 관해 홍보를 할 길이 별로 없다는 것입니다. 재미있게 읽으셨거든 주변에 많이 알려 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늘은 던전월드에 대한 소개글을 작성하겠습니다

던전월드는 케릭터 만드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나 룰 적인 부분에 대해 설명이 잘 되어 있기에

간단하게 처음 보시는 분이 모르실 수 있는 부분만 조금 알려드리겠습니다

//sites.google.com/site/dungeonworldkr/home/chargen

(던전월드 공개 룰 사이트 - 케릭터 만들기)

*해당 글에 따라 PC를 만드셔도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기본 개념]

던전월드란?

크툴루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유명한 TRPG 룰 중 하나로

묘사 & 서사 위주의 플레이라 데이터가 적고 공개룰이기에 초보자들이 어렵지 않게 배울 수 있습니다

*OR에 입문하시거나 중세 판타지 세계에서의 모험을 꿈꾸신다면 추천드립니다

*주의하셔야 할 점

플레이어 입문 - > 쉬움

마스터로 입문 -> 어려움

데이터 적인 부분이 적고 룰이 매우 널널한 편이기에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시작하기가 편하지만

긴장감 있는 분위기와 난이도를 조율해야하는 마스터의 입장에서는

순발력 / 임기응변이 많이 요구되기에 마스터링 하시기에 난이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sites.google.com/site/dungeonworldkr/home/example

(던전월드 공개 룰 링크)

//www.dropbox.com/s/95wheyzxjbsxfj6/DWPlaykitM1.pdf?dl=0

(던전월드 플레이 키트)

[기본 시스템]

사용 주사위

2 d 6 + 관련 스텟(능력 수정치) / (이 시스템은 아포칼립스 월드 엔진(awe)라고도 합니다)

주사위를 굴려 결과값에 따라 행동의 성공여부를 결정합니다

* +10 (완전한 성공) - 별 문제 없이 원하는 행동에 성공합니다

+7 ~ 9 (불 완전한 성공) - 원하는 행동은 성공했으나 무언가 작은 실수가 있었습니다(패널티 부여)

6 이하 (실패) - 무언가 실수를 하여 행동에 실패합니다 (+패널티)

케릭터 스텟(관련 스텟)

던전 월드에서는 D&D의 능력치를 차용한 근력,민첩,체력,지식,지혜,매력의 6가지 능력치가 존재하며

기술적인 숙련도 대신 해당 행동을 하는데 어떤 능력이 사용될 지 판단해 관련 스텟의 보정치를 더합니다

*스텟 보정치(능력 수정치)는 아래에 있습니다

ex)

*근거리 전투(접근전)시에는 +근(근력)의 보정치를 더합니다

*[정밀]태그가 있다면 +근 대신 +민의 보정치를 더합니다

*마법 주문 사용의 경우에는 +지(지식)(사제 주문은 +혜(지혜))의 보정치를 더합니다

*

근력 - 신체 능력 중 힘

민첩 - 신체 능력 중 민첩함 / 손재주

체력 - 지구력 / 체력

지식 - 지식

지혜 - 지혜

매력 - 카리스마 / 매력(외모)

//sites.google.com/site/dungeonworldkr/home/chargen

(던전월드 공개 룰 사이트 - 케릭터 만들기)

*해당 링크의 글에 따라 PC를 만드셔도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케릭터 만들기]

던월에서의 케릭터 작성은 직업 선택 -> 종족선택 -> 직업에 맞는 물품(장비 & 소지품) 선택 -> 스텟 결정

의 과정으로 진행 됩니다

던전월드에서는 CLASS[직업]에 따라 기본적인 데미지 / 체력 / 무게 / 시작 아이템 뿐만 아니라

사용 가능한 스킬(헥심엑션 & 고급엑션) 이 결정되기 때문에 직업을 먼저 선택하신 이후에

해당 직업이 주로 사용하는 스텟과 원하시는 PC 배경에 맞게 스텟을 분배하시면 됩니다

[능력치 설정]

케릭터 시작시 (1렙 기준)

16, 15, 13, 12, 9, 8의 6가지 수치를 (근,민,체,지,혜,매)에 원하시는 대로 분배하시면 됩니다

레벨이 오를 떄 마다 원하는 능력치에 + 1 & 고급 엑션 1가지를 얻습니다

*능력치 별 수정치

능력치

수정치

1~3

-3

4~5

-2

6~8

-1

9~12

0

13~15

+1

16~17

+2

18

+3

[엑션]의 분류

<공용 엑션> - 직업 제한 없이 PC들이 모두 가지고 시작하는 엑션으로

접근전(근) / 사격(민) / 방어(체) / 지식더듬기(지) / 상황파악(혜) / 협상(매) / 협조 & 방해 / 위험 돌파가 있습니다

지식 더듬기 - 무언가에 대한 조사를 위해 사용 (문헌 등에서 보았던 지식의 사용)

상황 파악 - 주변 상황의 파악 / 관찰 & 조사 등의 여러가지 기능을 담당합니다

위험 돌파 - 던전월드의 꽃과 같은 엑션으로 어떠한 위험(혹은 판정 시)에 대해

PC가 어떻게 대처할지 자유롭게 판단 / 묘사한 후 (말이 된다면) 관련 스텟으로 판정합니다

• 힘으로 밀어 붙이려면 +근 판정.

• 비키거나 피하는 등, 날래게 움직이려면 +민 판정.

• 몸으로 버티려면 +체 판정.

• 재치로 이겨내려면 +지 판정.

• 의지력으로 견디려면 +혜 판정.

• 매력과 사교술로 극복하려면 +매 판정.

출처 입력

<특수 엑션> - 직업별로 선택가능한 종족과 특수엑션이 달라집니다

도적)

하플링

원거리 무기로 공격할 때 피해를 +2 더 줍니다.

인간

범죄계에 익숙합니다. 범죄 활동에 관해 지식 더듬기나 상황 파악을 할 때 +1을 받습니다.

<헥심 엑션> - 직업 별로 가지는 직업의 특성을 나타내는 엑션입니다

해당 직업으로 시작할 떄 가지고 시작하는 엑션들이며 케릭터의 활동범위를 추가로 늘려줍니다

*핵심 엑션 예시

도적)프로의 솜씨

자물쇠를 따거나 덫을 해제할 때 +민 판정을 합니다. 10+이면 아무 문제 없이 해냅니다. 7~9여도 성공은 하지만, 의심, 위험, 대가 중 두 가지를 마스터가 제시할 것입니다.

사냥꾼) 사냥과 추적

사람이나 짐승이 지나가며 남긴 자취를 따라갈 때, +혜 판정을 합니다. 7+이면 대상이 방향이나 이동 방식을 크게 바꾼 지점까지 추적해 갈 수 있습니다. 10+이면 더불어 한 가지를 고릅니다:

<고급 엑션> - 자신의 케릭터를 강화해주는 엑션으로 경험을 쌓아 성장(레벨업)할 떄 마다

케릭터의 강함을 보완해줍니다

*고급 엑션 예시

전사) 무기 강화

고유병기에 특징을 하나 추가합니다.

전사)전사의 눈

전투 중에 상황 파악을 하면 +1을 받습니다.

PS-

데이터적인 부분보다 플레이어와 마스터의 이야기 진행을 우선시 하기에

어찌보면 자유도라는 OR의 장점을 가장 잘 살리고 접근성도 좋습니다

그리고 공백이 많은 널널한 규칙이기에 세션의 분위기와 입맛에 따라 자유롭게 개수해서 사용이 용이하여

개수 룰이 가장 많다고 생각하는 룰이기도 합니다 (개수 - 룰 대한 추가와 가감)

다만 그 만큼

적당한 벨런스의 유지와 여기저기 부실한 느낌의 해소가 중요하며(특히 데이터 수치적인 부분의 조정)

다른 룰도 마찬가지인 부분이지만 자유로운 플레이를 만끽하되 다른 PL과 마스터를 존중하고 베려하면서

플레이해야 하는 룰이 라는 점 꼭 생각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앞에서도 말씀 드렸지만 플레이어에게는 쉽지만 마스터 난이도는 높은 편 입니다

쉽게 생각하시고 던월 마스터 도전하셨다가 멘탈 깨지신 마스터 분들이 좀 계십니다..!

마스터 링을 도전하시기에 앞서

룰(시스템)이 널널하고 쉽다 = 시스템 대신 세션의 마스터를 갈아넣습니다!

라는 점 생각해 주시고 준비하시길 빕니다

이상입니다 쫀밤 되세요 ^^7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