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러운 손의 법칙 - deoleoun son-ui beobchig

1. 정약용은 수원 화성을 쌓을 때 솔선수범의 자세로 거중기를 고안하여 많은 비용 을 절약할 수 있었다.

① ○

×

2. 다산은 공직 사회에서 상사의 명령에 무조건 복종하는 것을 최선이라고 했다.

① ○

×

3. 봉공6조의 요역편은, 맡은 업무에 대해 회피하거나 수동적으로 행동하지 말고, 먼저 앞장서서 마땅히 할 일을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① ○

×

4. 다산의 목민심서 율기6조 내용 중 칙궁(飭躬)’은 올바른 공직자의 몸가짐을 이르는 말이다.

① ○

×

5. 조선 전기 관리 최부는 관아의 말을 사적용도로 이용한 ○○를 훈계하였다. 그 후 ○○는 이를 가슴에 깊이 새기고 청렴하게 살았다고 한다. ○○는 누구인가?

송흠

정약용

이순신

김정희

6. 오늘날 국가 예산은 국민의 세금으로부터 나오므로 절용(節用) 즉 예산 절약의 자세가 필요하다.

① ○

×

7. 목민심서에서 공물 보기를 사물처럼 하여야한다라는 의미는 공적인 물건을 자기 물건처럼 절약해서 써야한다" 라는 의미이다.

① ○

×

8. 사사로운 청탁을 배격하는 자세를 의미하는 것은?

애민(愛民)

병객(屛客)

정의(正義)

중용(中庸)

9. 우당 이회영은 경학사를 비롯한 20곳에 민족학교를 세웠으며, 신민회를 후원하고 의열단을 지원하기도 했고 그가 세운 신흥무관학교는 이후 독립군의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의 주역이 되었으며 1940년대 대한광복군의 든든한 밑거름이 되었다.

① ○

×

10. 공직에 임하는 공직자의 자세를 다루는 목민심서의 내용은?

부임6

진황6

애민6

호전6

11. 다산 정약용은 지혜가 높고 사려 깊은 이는 그 욕심이 크므로 청렴한 관리가 된다라고 하였다.

① ○

×

12. 대탐필렴(大貪必廉)의 뜻은 크게 탐하는 자는 반드시 청렴하려 한다.”라는 뜻이다.

① ○

×

13. 목민심서 율기6조 내용 중 ○○이란 목민관의 기본 임무이며 모든 선의 원천 이요 모든 덕의 근본이다. ○○하지 않고 목민관을 할 수 있는 자는 있지 않다이 있다. ○○에 들어갈 말은?

화합

전문성

청렴

능력

14. 목민관으로서 그 직이 전보되거나 퇴임할 때 가져야할 마음가짐과 처신에 대해 다루는 목민심서의 내용은?

해관6

공전6

병전6

애민6

15. 국가청렴도가 상승하면 국가의 부가 상실되어 국민소득이 감소한다.

① ○

×

16. 목민심서에 다른 벼슬은 구할 수 있으나 목민관을 하겠다고 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란 부분은 어떤 내용과 관련이 있는가?

봉공6

율기6

애민5

부임6

17.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는 총 몇 편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10

12

14

16

18. 다산 정약용의 능력을 인정하고 후원한 조선시대 왕은?

세종

정조

영조

순조

19. 다산 정약용이 황해도 곡산에 내려가 농민들의 시위를 경청하고 해결한 사건은?

이계심의 난

임꺽정의 난

홍경래의 난

이몽학의 난

20. 다산이 당시 가혹한 군정 실태를 백성이 자신의 성기를 잘라버린 시로 표현 하였는데 이시의 명칭은?

애민양

애절양

군정양

애군양

21. “눈 쌓인 벌판을 걸어갈 때 모름지기 그릇되게 가지 말라 오늘 나의 걷는 이 발자국이 뒤에 오는 사람들의 길이 되나니이 시를 쓴 사람은?

김소월

서산대사

사명당

만해 한용운

22. 사회지도층에게 요구되는 높은 도덕적 의무, 사회에 대한 책임을 무엇이라 하는가?

청렴

의리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충성

23. 관용차를 사적 용도로 이용하는 것은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이다.

① ○

×

24. 학연, 지연 등 연줄을 이용해 공직자와 관계 맺기를 좋아하고, 그 관계를 이용해청탁해오는 자들이 있을 수 있는데 그런 사람들과는 애초 거리를 두면서 자신의 직무를 올곧게 수행해야 함을 강조한 목민심서의 내용은?

애민(愛民)

병객(屛客)

정의(正義)

중용(中庸)

25. 학연, 지연을 통해 사람의 청탁을 들어주면 행동강령 위반이 아니다.

① ○

×

26. 청렴은 청빈과 직결되므로 현대에서도 청빈한 자를 이상적으로 보고 있다.

① ○

×

청빈 청부

27. 공직 사회에서의 청렴은 뇌물만 받지 않으면 된다는 의미에 한정된다.

① ○

×

28. 조선후기 평안도 의주에서 상업에 종사하며 자신의 능력으로 막대한 재화를 벌어 자신의 부를 기민구제를 위해 썼고, 그 공으로 상인으로서는 곽산군수라는 공직을 겸했던 인물은?

임상옥

박제가

이이

이지함

29. 조선 중기의 재상 퇴계 ○○은 한 서신에서, 당시 대의보다는 사적 욕심으로 공직을 매관매직하는 자들을 지금 사람들은 부모봉양을 핑계로 의롭지 못한 녹을 받고 있다라고 하였다.

이황

이이

조식

성혼

30. 조선의 멸망은 부정부패와 전혀 관계가 없다.

① ○

×

조선시대(1392 - 1910)

31. 다산 정약용은 목민심서를 저술하여 이를 다산 스스로 당시 사회제도 개혁에 적극 적용하여 당시 조선을 개혁할 수 있었다.

① ○

×

32. 노블리스 오블리제는 영국군이 점령한 프랑스의 도시 칼레 지도자들이 몸소 나서서 희생을 하고자 한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① ○

×

33. 송나라 때 판관 장구성은 벽에 다음과 같이 써 붙여놓고 자신을 다스렸다고 한다. 공직생활을 잘할 수 있는 요체는 한 글자뿐이다. (치현결)이는 공직자에게 먼저 의를 두려워하고, 법을 두려워하고, 상관을 두려워하고, 백성을 두려워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에 들어갈 한자는?

()

()

()

()

34. 다산의 목민심서 율기6조 내용 중 칙궁(飭躬)’은 올바른 공직자의 처신, 몸가짐을 이르는 말로 현대적으로 해석하면 ○○에 가깝다. ○○에 들어갈 말은?

봉사

애국

애민

절제

35. 제왕학의 교과서라 할 수 있는 정관정요에서는, 공직생활을 하는 데 세 가지 현묘한 비결이 있다고 했다. 첫째는 맑을 청자요, 둘째는 삼갈 신자요, 마지막은 근면할 근이다.

① ○

×

36. 법령의 근거 없이 타 집단과 차별되는 우월적 지위를 부여하거나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특혜

복지부동

비리

로비

37. 조선 전기 성종 때의 인물로 제주목사로 부임하여 아전들이 공물을 빼돌리는 관행을 척결하였고 퇴임 시 제주 백성들이 그의 선정에 감화되어 말채찍을 받치고자 했던 인물은?

정약용

황희

이황

이약동

38. 조선 후기 삼정의 문란 중 있지도 않은 땅이나 황폐한 토지에서 세금을 징수한 것을 이르는 말은?

백지징세

황구첨정

백골징포

조용조

황구첨정(군정):간난아기에게 세금징수, 백골징포(환정): 죽은자에게 세금징수

39. 중국 송나라의 정백자는 오지의 현령에 부임하게 되어, 마을을 정비하는 부역이 많았는데 그럴 때마다 몸소 나서서 감독했고, 추울 때는 가죽옷을 입지 않고 더울 때에도 양산을 바치지 않았다고 한다.

① ○

×

40. 미국의 정치행정학자 펜들톤 헤링은 ○○은 법을 집행함에 있어 공직자들을 안내해주는 하나의 표준이다.”라고 하였다. ○○에 들어갈 말은?

사익

공익

이익

철학

41. 개인적 목적을 위해서가 아니라 공공선(common good) 혹은 공익을 위해 도덕원칙을 위반하게 되는 행위나 상황을 더러운 손의 법칙이라 한다.

① ○

×

42. 다산 정약용은 저술활동은 대부분 현직관리로 있을 때 이루어졌다.

① ○

×

대부분 저술활동은 유배생활 중에 작성

43. 다산의 목민심서 율기 6조 내용 중 예산절약관련된 말은?

애민(愛民)

병객(屛客)

수신(修身)

절용(節用)

44. 공직자의 부패는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

① ○

×

45. 조선 헌종 때 용호영 장교의 행패를 엄정하게 처리했던 인물은?

홍대용

박지원

정약용

임익상

46. 목민심서 내용에는 당시 조선시대의 가혹한 현실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사례가

없고, 이론 중심으로 목민관이 지켜야 할 자세를 제시하고 있다.

① ○

×

47. 일제가 조선을 강점하게 되자 우당 ○○○의 형제들은 땅과 가옥 등 전 재산을 팔아(현재가치 600억원)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에 들어갈 인물 이름은?

이봉창

윤봉길

이회영

김구

48. “날이 밝기 전에 기상하여 촛불을 밝히고, 세수하고 옷을 단정히 입고 띠를 두른 후 말없이 바르게 앉아 정신을 함양한다. 잠시 후 생각을 풀어내 오늘 당연히 할 일들을 놓고 먼저 선후의 차례를 정한다. 맨 처음 무슨 공문을 처리하며 다음에는 어떤 명령을 내릴 것인가를 마음속에 역력히 해야 한다. 이에 제일 먼저 할 일의 선처방법을 생각하며, 다음으로 할 일의 선처방안을 생각하되, 사욕을 끊기에 힘쓰고 하나같이 천리를 따르도록 하여야 한다.”

칙궁(飭躬)

청렴(淸廉)

병객(屛客)

수신(修身)

49. 다산 정약용이 거중기를 고안하여 쌓은 성은?

한양도성

전주성

해미읍성

수원화성

50. 목민심서 율기6조 내용 중 병객(屛客)청탁을 물리치다라는 뜻이다.

① ○

×

51. 다산 정약용은 목민심서를 저술하여 이를 다산 스스로 당시 사회제도 개혁에 적극 적용하여 당시 조선을 개혁할 수 있었다.
X

52. 공직사회에서의 청렴은 뇌물만 받지 않으면 된다는 의미에 한정된다.
X

53. 목민심서에서 "다른 벼슬은 구할 수 있으나 목민관을 하겠다고 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란 부분은 어떤 내용과 관련이 있는가? 4 
1) 봉공6조
2) 율기6조
3) 애민6조
4) 부임6조

문제18
법령의 근거 없이 타집단과 차별되는 우월적 지위를 부여하거나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1) 특혜
2) 복지부동
3) 비리
4) 로비

목민심서 몇편?

10년간의 노력끝에 신진여류작가 황인경씨가 펴낸 5권 분량에 소설 《목민심서》는 1992년 초판이 서점가의 베스트셀러 반열에 올랐고, 발행된 이래 650만 부의 판매 신화를 기록하며 많은 독자에게 감동을 주었다.

목민심서는 총 몇편?

분량은 부임(赴任)·율기(律己, 자기 자신을 다스림)·봉공(奉公)·애민(愛民)·이전(吏典)·호전(戶典)·예전(禮典)·병전(兵典)·형전(刑典)·공전(工 典)·진황(賑荒)·해관(解官, 관원을 면직함) 12편이며, 각 편을 6조로 나누어서 72조로 구성한다.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는 총 몇편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정약용은 목민심서를 통해 목민관인 수령이 임명을 받을 때부터 물러날 때까지 지켜야 할 지침을 기록했어요. 모두 48권 16책으로, 부임, 율기, 봉공, 애민, 이전, 호전, 예전, 병전, 형전, 공전, 진황, 해관 12편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