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mod 777 사용법 - Chmod 777 sayongbeob

리눅스에서 파일 사용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로써 change mode의 약어이다. 파일과 디렉터리의 사용권한을 변경할 때 사용하며 8진법 모드와 문자열 모드로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대부분 8진법 모드가 간단해서 널리 사용된다.

사용법

chmod 명령어의 기본 형태는 아래와 같다. 여기서 옵션과 모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옵션

옵션에는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R: 하위에 위치한 파일과 디렉터리 권한을 변경한다.
  • v: 현재 실행되고 있는 모든 파일들을 나열한다.
  • c: 실제로 변경된 파일들만 자세하게 출력한다.

문자열 모드

chmod 명령어는 문자를 통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8진법 모드보다 더 직관적이다.

$ chmod [레퍼런스] [연산자] [모드] [대상이름]

레퍼런스는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 u: 사용자(for owner), 파일의 소유자를 말한다.
  • g: 그룹(for group), 해당 파일의 그룹 멤버인 사용자
  • o: 다른 사람들(for others), 그 파일의 소유자 또는 그룹의 멤버가 아닌 사용자
  • a: 위의 셋 모두(for all) 포함, ugo와 동일하다.

연산자는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 해당 권한을 추가한다.
  • -: 해당 권한을 제거한다.
  • =: 해당 권한을 지정한 권한으로 변경한다.

모드는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r: 읽기(read), 파일을 읽거나 디렉터리 안의 내용들을 볼 수 있다.
  • w: 쓰기(write),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쓴다.
  • x: 실행(execute),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8진법 모드

흔하게 볼 수 있는 8진수를 사용한 권한 설정 방법이다. 직관적이지는 않지만 사용법은 간단하다.

$ chmod [옵션] [8진법수] [대상이름]

파일의 권한을 보면 -rwxrwxrwx와 같이 표기되는데, 맨 앞의 표기는 디렉터리는 d, 심볼릭 링크와 같은 형태는 l로 표기되는 ‘파일 분류 타입’ 이므로 생략하고, 이어지는 9개 문자를 3개로 나누어 각각 user, group, other의 권한으로 생각하면 된다.

파일 읽기 권한인 r은 숫자 4, 파일 쓰기 권한인 w는 2 그리고 파일 실행 권한은 x는 1로 매핑하며, 이 문자들을 더한 값으로 권한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wxr-xr-x의 경우 755 와 매핑된다.

예시

이제 위에서 살펴본 방법들로 권한을 부여하는 예제들을 살펴보자.

# user 에게 test 파일에 대한 읽기, 쓰기 권한 부여 $ chmod u+rw test # user 에게 test 파일에 대한 쓰기 권한만 부여 # group 에게 test 파일에 대한 읽기 권한 부여 $ chmod u=w, g+r test # user 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 부여 # group, other에게 읽기, 실행 권한 부여 $ chmod 755 test

안녕하세요

서버에서 많이 쓰는 명령어 중 하나인 chmod. chmod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hell/유닉스/리눅스] chmod 사용법

chmod는 change mode의 약어입니다.

대상 파일, 디렉토리의 사용권한을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주로 권한 755, 777 이라고 숫자로도 말을 하게 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해볼게요.

우선 chmod 사용법을 알아야겠죠!

chmod [옵션][모드][파일]

그리고 해당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을 알고 싶은 경우에는 ls-l을 이용하여 확인 할 수 있어요

이렇게 앞의 drwxr-x--- 이런식의 내용들이 권한인데요

-rwxr-xr-x : 파일 접근 권한 분류 표기로, 처음 -는 파일 분류 타입.

파일 타입 : d 디렉토리, l(소문자 L) 링크 카운터, s 소켓, p 파이프, - 일반, c 특수문자, b 특수블럭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권한이 어떻게 나뉘는지 설명해드리자면

755 권한인 rwxr-xr-x로 설명해드릴게요.

처음 3개 문자 : user의 권한

중간 3개 문자 : group의 권한

마지막 3개 문자 : other 권한

입니다.

또한 r은 read, 파일 읽기로서 4

w는 write, 파일 쓰기로서 2

x는 exe 파일 실행으로서 1

그래서 3개 문자의 수를 더해서 755라고 읽히는 겁니다.

좀 이해가 가시나요 ?

사실 chmod는 문자열로도 가능하고 8진법으로 가능한데

저는 주로 8진법으로만 사용해서 8진법밖에 몰라요 .... 하하

아래는 사용예제라고 보시면 됩니다

# test 파일의 user, group, other의 권한을 모두 오픈 chmod 777 test # 한 디렉토리내의 전체 권한을 모두 오픈 chmod 777 *

chmod

chmod(change mode)명령어는 대상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 입니다.

문자열로 직접 지정하여 바꾸는 경우와 8진법 수를 이용하여 바꾸는 경우 2가지가 있습니다.

문자열은 r, w, x를 이용하며 8진법은 4, 2, 1숫자를 이용합니다.

명령어 사용법

chmod (-문자+문자) (파일명)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권한이 변경되는걸 볼수 있습니다.

여기서 간단하게 r은 읽기 w는 쓰기 x는 실행입니다.

-r를 입력하면 r권한이 다없어지고 -w를 입력하면 w권한이 없어집니다. 또 +w를 입력하면 w권한이 생기고 +x를 입력하면 x권한이 생깁니다.  

예제)

chmod u(+-),g(+-)x(+-) (파일명)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변경됩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u는 소유자 g는 그룹 x는 타인의 권한을 말합니다.

예제)

chmod (8진법 수) (파일명)을 입력하면 하래 화면과 같이 변경됩니다.

 여기서 8진수 사용방법 읽기 r은 4, 쓰기 w는 2, 실행 x는 1을 나타내며 이숫자를 합치면 7이 되는데 그럼 rwx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다 가능하게 변경할수 있습니다.

예제)

예를 들어서 chmod 421 (파일명)을 입력하면 소유자는 r 그룹은 w 타인은 x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예제)

chmod명령어에 대해 기본적인 내용만 설명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