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굴 없는 앱플레이어 - chaegul eobsneun aebpeulleieo

앱플레이어 정말 위험한 프로그램인가요?

저자는 평소에 모바일 게임을 즐겨 하는 작은 모바일 게임 개발 및 백신 업체 종사자입니다. 저와 같은 소인이 갑작스럽게 글을 쓰게 된 이유는 최근 앱플레이어 관련해 이런저런 이슈를 발견했고 저자 또한 앱플레이어에 대해 쌓인 것이 많아 5년 동안 앱플레이어를 활용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 있던 유저로써 사용자들의 궁금증, 안전하게 앱플레이어를 활용하는 방법을 글로 적고자 하며 이는 현재 인터넷에 있는 모든 앱플레이어 관련 이슈를 어느 정도 완해하고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게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전문적인 어법을 줄이고 최대한 일반 사용자분들도 이해하기 쉬우시게 최대한 간단하게 풀어썼는데 이해가 잘 되실지 모르겠으나 끝까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궁금하신 것은 댓글을 통해 모든 물어봐 주십시오.

시작 전 앱플레이어를 모르시는 입문자분들을 위하여 앱플레이어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앱플레이어란?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pc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며 보통 모바일 게임을 pc에서 즐길 때 많이 활용됩니다. 가상키, 멀티 실행(pc에서 가상으로 여러 대의 스마트폰을 실행하기 하는 기능)등 M게이머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m게이머나 일반 사용자를 포함한 프로그래머, 저자와 같은 백신 개발자 등이 사용하는 녹스가 사용률, 점유율, 브랜드 등 가장 높고 오래된 앱플레이어이며 그다음 엘디, 블루스택, 피크, msi 등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최근 리니지2m 출시와 함께 나온 퍼플도 앱플레이어라고 착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퍼플은 앱플레이어가 아니라 리니지2m 게임을 연동하여 플레이를 가능케하는 크로스 플랫폼이며 그렇기에 다른 모바일앱 실행은 불가능합니다.

녹스는 홍콩[Nox hongkong limited], 엘디 중국[Changzhi netework], 블루스택 미국[Bluesteak], 미뮤 중국[Wanwei technology]로 알고 있으며 기타 앱플레이어의 경우 최적화가 pc 사양에 따라 너무 심하게 차이 나거나 실행이 되지 않는 모바일 게임이 존재하며 운영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는 곳일뿐더러 관련된 정보가 사실 많지 않아서 추가하지 않았으니 양해 바랍니다.

바로 이 글의 본론부터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앱플레이어는 정말 위험한 프로그램인가요??

우선 “아니다”라고 결코 장담하듯 말할 수는 없습니다. 이유는 국내에 다양한 브랜드의 앱플레이어가 존재하기 때문이며 이 중 이슈가 단 한 번도 발생하지 않은 안전한 앱플레이어가 있습니다. 앱플레이어마다 장단점이 있으니 사용자는 신중하게 생각하고 앱플레이어를 선정하기를 바랍니다.

참고로 저자는 직업 특성상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pc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았기 때문에 앱플레이어와 같은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항상 존재했습니다. 그러다 당시 국내에 최초로 출시된 앱플레이어를 처음으로 에뮬레이터라는 것을 접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녹스였습니다. 녹스를 시작으로 앱플레이어에 입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앱플레이어하면 항상 걱정되는 것이 “채굴 이슈”입니다.

채굴 이슈의 시작 “모모앱플레이어”

모모앱플레이어는 중국 창지 네트워크와 한국 게임사가 공동 개발하여 만들어진 에뮬레이터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중국과 한국 게임 회사가 공동으로 에뮬레이터를 개발을 하게 되었는지는 발견된 정보가 없었습니다.

두 회사가 공동 개발 후 모모앱플레이어는 국내외로 다양한 이슈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첫번째로 발생한 사건이 지금까지도 많은 유저들의 구설수가 되는 “앱플레이어 채굴 이슈”입니다.

우선 앱플레이어 채굴 이슈가 존재했었고 아직까지도 존재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며 당시 모모앱플레이어 공식 홈페이지가 채굴 바이러스 침투에 대처하지 못하여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침투한 채굴 바이러스가 디버그 브릿지를 통해 모모앱플레이어에 정착을 했던 것입니다. 그 이후에도 이와 관련된 이슈가 수차례 연달아 발생하였고 당시 관련 업무를 책임진 한국측 게임사가 대처에 실패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중국 창지 네트워크는 파트너를 중단하였으며 한국 게임사는 폐업 수순을 밟게 되었습니다. 이 사실은 중국측에 파트너를 두고 있는 게임 회사 개발자 친구와 대화를 통해 들은 사실이며 앱플레이어측과 함께 일하거나 관련있는 항업에 종사하는 분들은 이 이슈를 모두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중국 창지 네트워크가 창지 인터내셔널로 사명을 변경하고 앱플레이어의 이름도 바꿔서 단독으로 서비스하고 있는데 이 앱플레이어가 바로 엘디앱플레이어(Ldplayer)입니다.

한국 게임사 폐업 후 중국 현지에서 단독으로 서비스를 하고 있는 창지는 엘디앱플레이어로 이름을 바꾸고 한글 버전을 정식으로 지원하면서도 text가 여전히 발견되는등 문제가 고쳐지지가 않았으며 아직까지도 채굴앱 text 삭제/차단 방법등과 관련된 글, 영상들이 올라오는 등 이슈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엘디의 최근 앱플레이어 해킹 이슈, 해킹에 너무 취약한 엘디

최근 채굴앱프로 인해 발생한 해킹 바이러스

Test가 채굴앱인데 Adb와 어떤 관련이 있나요?

Adb자체에 위험 요소가 있는 프로그램인가요?

NO!!

Adb는 안드로이드 디버그 브릿지라고하며 즉,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다목적 명령줄 도구에 불과합니다. 그리하여 adb로 시작하는 파일은 이러한 명령어를 앱의 설치 및 디버깅과 같은 다양한 작업에 도움이 되고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유닉스(Unix shell) 셸에 관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간단하게 이해하자면 위에서 거론된 내용처럼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명령 도구이고 안드로이드 디버그 브릿지 즉, 말 그대로 브릿지, 기기와 기기가 대화할 수 있게 다리처럼 이어주는 프로그램이며 앱플레이어서 adb가 뜻하는 바는 앱플레이어 안드로이드 시스템과 Cpu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한 pc 프로세서가 명령 및 소통할 수 있게하는 것입니다. adb는 녹스, 블루스택, msi, 피크등 모든 앱플레이어에서도 발견할 수밖에 없는 필수 명령 프로그램이며 adb 프로그램은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와 같은 일반적인 게임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정상적인 프로그램이며 adb를 삭제하게 되면 프로그램 실행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adb가 채굴 프로그램으로 오해를 받고 있는 것인가요?

우선 본 문제는 엘디에서만 포착이 되었음을 정확히 밝히며 타앱플레이어 종사자분께서 이 글을 보실지는 모르겠지만 오해 않으시길 바랍니다. 정확하게 어떻게 엘디앱플레이어 내에 test(채굴 프로그램)가 침투했는지 모르겠으나 채굴 프로그램 또한 보통 adb를 통한 명령이 있어야 앱플레이어서 정상적인 운행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엘디앱플레이어 파일의 adb에서 명령을 내리면 test가 매우 쉽게 발견이 되며 이 이슈는 모모앱플레이어 때부터 계속 이슈가 되었지만 아쉽게도 창지는 아직까지도 이를 해결할 기미조차 보이지 않습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adb가 test인 것이 아니라 test도 프로그램인지라 실행이라는 모션을 해야하기 때문에 명령을 받아야하고 adb를 통해 적용되며 adb라는 다리에 놓여이는 것입니다. 이런 소통의 다리에 놓여져있는 수많은 프로그램 중에 하나가 test로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물론 pc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adb를 삭제하게 될 시 앱플레이어가 실행 화면에서 멈춘다던가 명령을 내리지 못해 불분명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adb.exe(디버그 브릿지)를 삭제 후 텍스트 파일로 교체하여 차단하는 방법을 많이 활용하시는데 이와 같은 방법이 사용자의 pc를 완전한 채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엘디는 이와 같이 아직까지도 해킹, 채굴 바이러스에 너무 취약한 환경을 유저에게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엘디 자체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부터 백신 관리에 철저해야합니다. 허나 유저의 목소리에 귀를 귀울여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드는 것은 사실이며 앱플레이어의 수입 수단을 잘 모르지만 엘디는 정말 채굴로 수입을 벌고있는 것인지 유저 입장에서 의문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사실 저자도 ld를 다른 앱플레이어와 혼용을 하고 있었으나 이런 우려와 같이 예상했던 것 처럼 2020.9.10에 또 다시 해 이슈가 터진 후 ld를 pc에서 완전히 삭제 처리했습니다.

이번 이슈는 불분명한 해킹이라고 공식에서 밝혔으나 채굴 test와 관련된 이슈임에 분명합니다. 엘디는 채굴 프로그램이 아니라면 운영 비용을 돌리기 힘들기 때문에 밝히지 않은 것이 아닌지 심히 의심을 해볼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엘디의 채굴 활용은 불명확하니 함부러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채굴앱으로 인한 해킹 이슈

저자는 굳이 test를 삭제하거나 차단하는 복잡한 방법보다는 그나마 안전이 보장된 앱플레이어를 쓰는 방법을 진심으로 추천하고 싶습니다. 구체적인 이유를 말씀드리자면 test 파일을 차단하거나 삭제를 해도 수많은 모바일 게임의 최적화에 마추어 업데이트가 자주 되어야하는 앱플레이어는 업데이트 과정에서 유저가 덮어쓰기 업데이트 혹은 새로 다운로드 시 반드시 반복하여 test가 침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앱플레이어 사용자는 반드시 test관련 채굴앱,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공식 홈페이지를 포함한 각 루트로부터 백신을 이용해 완전한 차단 조취를 해야하며 이미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고 인지도가 보장된 앱플레이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사용하시는 앱플레이어의 최적화가 Pc사양과 잘맞아 아무리 편하고 좋더라도 최적화라는 장점을 이용하여 pc 개인정보나 채굴로 인한 손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앱플레이어 채굴이라고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ld 관련한 이슈, 내용을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해는 금물입니다! test 채굴기는 앱플레이어에서 설치한 것이 아닌 해커가 앱플레이어 공식의 보안을 뚫고 앱플레이어 adb를 통해 무단으로 설치를 한 것입니다. 때문에 보안이 강하고 오래된 경험 많은 앱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선정하는 것을 제안드린 것입니다.

Tset 채굴 프로그램 뿐 만이 아니라 과거에 android.good.miner, hidden.miner와 같은 채굴 악성코드 또한 해커들이 앱플레이어 공식 사이트를 뚫고 앱플레이어에 악성 코드를 심었던 이슈가 있었습니다. 필자도 백신 관련된 일을 하다보니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사실 중 하나는 홈페이지나 프로그램이나 한 번 뚫리는 곳은 계속 뚫리고 한 번도 뚤린적이 없던 곳은 쉽게 건드리지 못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젊은 사용자층을 보유한 블루스택도 이슈가 아예 없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이 또한 adb shell 명령 프로그램을 통해 블루스택의 문제를 알 수가 있습니다.(adb 본연의 문제가 아닙니다. adb는 오히려 이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빠르고 정확히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고마운 명령어 프로그램입니다.)

본 이슈는 저도 오래전부터 지켜봐왔던 문제라 굉장히 공감했습니다. 최근 한 IT전문가 유튜버께서 언젠가는 고쳐지겠지 기다렸고 결국 고쳐지지 않는 블루스택의 문제를 참다참다 영상으로 만들게 되었다고 합니다. adb에서 .\adb.exe devices 명령어를 기입 후 /sdcard 영역으로 입장을 하면 windows라는 폴더를 확인할 수가 있는데 이 폴더에 들어가게되면 document, picture과 같은 사용자 개인 정보가 있는 개인 폴더가 있는데 왜 이것이 문제가 되냐하면! 사실 이것이 블루스택에서 보이지 않는 것이 정상이지만 윈도우에서 텍스트 문서를 만들었을 때 블루스택 자체에서 훤히 보인다는 것입니다.

블루스택의 위험성

더군다나 블루스택은 앱플레이어 내에 블루스택 자체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구글 플레이 서비스 기반인 기타 앱플레이어와는 달리 개인 정보를 보장하기 어려운 것은 명백한 사실입니다. 물론 블루스택 입장은 보인다고해서 사용자의 개인 폴더나 사용자 정보를 하나하나 찾거나 수집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사실 이 부분도 장담할 수는 없지만... 가장 큰 문제는! 이런 취약한 환경의 블루스택에서 과거 엘디와 동일하게 악성앱에 감염 될 시 사용자의 개인정보 확인은 물론 수집 후 악용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사용자는 이를 절대!! 쉽게 생각하면 안되는 부분입니다.

더군다나 블루스택의 경우 국내에서 연령대가 낮은 비전문가 유저들이 사용하는 앱플레이어기 때문에 이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생각하거나 대단한 조취를 취하지는 않습니다. 아래와 같이 운영자 또한 정확한 문제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내용을 보면 가끔 국내 앱플레이어 유저가 운영자보다 지식 부분에서 월등히 전문적일 때가 있습니다. 엘디는 중국 운영자(조선족 혹은 유학파), 블루스택(한국 지사지만 비전문가)으로 이루어져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데 pc, it 분야의 고인물 국가 대한민국 사용자들을 결코 쉽게 보아선 안된다는 것을 반드시 깨닮아야할 것 입니다.

이해를 못하는 블루스택 운영자

그렇다면 안전하게 앱플레이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우선 앱플레이어의 문제가 왜 이렇게 많은가?!라는 전제를 반드시 이해하고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사실 앱플레이어가 실제로 문제가 많은 것이 아니라 많아보이는 것이 다반수입니다. 많아 보인다는 것이 무슨 뜻이느냐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의 사양, 환경등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지 아니하고 무조건 앱플레이어의 문제로만 판단할 수 있는 상황이 80%는 된다고합니다. 이유는 앱플레이어를 실행 후 문제가 발생을 했으니 앱플레이어 문제로 착각할 수 있다라는 것 입니다. 앱플레이어 관련 커뮤니티를 통해 수집한 몇 가지 예시와 기타 문제를 모아봤습니다.

1, 앱플레이어 렉이 너무 많이 걸립니다.

가장 많은 이슈입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앱플레이어라는 프로그램이 모바일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고해서 사용자분들이 생각하는 만큼 가벼운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배틀그라운드, 오버워치등 사양이 높아야하는 pc게임을 실행할 수있는 사양의 pc여야지 생각하시는 만큼의 원활한 플레이가 비로소 가능합니다. 간혹 녹스 사용자의 경우 vt를 활성화하지 않아 렉이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pc cpu마다 vt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이 간혹있는데 유튜브에 검색하면 관련 자료가 많이 있으며 녹스창에 빨간색 느낌표가 뜨면 꼭 vt를 켜야합니다. 다른 앱플레이어의 경우 vt가 자동으로 켜지거나 나타나지 않을 때가 많은데 사실 이는 사용자 pc환경이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뜻합니다. vt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설정을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2, D드라이브 프로그램에 폴더가 깔리는 이슈

PC 다운로드 경로 본연의 이슈, 다운로드한 해당 드라이브 용량이 다 차거나 D드라이브에 다운이 되어야하는 프로그램일 시 유저 D드라이브에 저장이 되는 이슈로써 해킹이나 바이러스 관련 이슈와 상관이 없습니다.

3, 앱플레이어를 다운받았는데 트로이 목마 같은 악성앱이 있습니다.

가장 먼저 생각해야하는 점은 앱플레이어를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으셨는지 회상할 필요가 있습니다. 녹스앱플레이어와 같은 브랜드 인지도가 매우 높고 사용자가 많은 앱플레이어의 경우 써드 홈페이지가 매우 많습니다. 절대!! 이런곳에서 다운받으시면 안됩니다. 심지어 네이버 프로그램에서도 말이죠. 공식이 아닌 이상 절대 다운받으시면 안됩니다.

물론 써드 홈페이지도 악성을 위해 만들어진 홈페이지는 아닙니다. 외부 해커들이 해킹을 위해 써드홈피와 같은 취약한 환경의 홈피를 방문하여 공격하는 것이죠. 써드는 공식만큼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백신 기술이 없습니다. 자신의 프로그램이 아니기 때문에 코드에 대해서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며 감염되면 홈페이지를 버리면 끝이지만 인지도가 높고 사용자가 많은 프로그램은 전문가들로 구성되고 관련 이슈에 대해 굉장히 잘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 다르다는 것을 알아두어야합니다.

녹스앱플레이어를 모방한 써드 페이지들

녹스앱플레이어를 모방한 써드 홈페이지, 악성 코드와 프로그램이 들끓는 써드 홈피

4, 앱플레이어는 보통 구글로 로그인하는데 계정이 해킹될 수 있나요?

위에 말씀드린 것과 같이 자체적으로 로그인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블루스택의 경우 가능성이 매우 크며 기타 앱플레이어의 경우 단순히 구글플레이 환경을 가상화로만 지원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사용자 계정을 절대 알 수가 없습니다. 이 부분은 안심해도 좋으며 해킹의 가능성이 딱 한가지 있는데 그것은 구글 플레이 보안이 뚤리는 것입니다. 근데 구글 보안이 뚤린다.. 흠.. 있을 수가 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5, Test라는 채굴 악성코드가 자동으로 깔림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써드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절대 다운받지 마십시요. 이것은 앱플레이어 뿐 만 아니라 모든 pc 프로그램이 같습니다.

6, 앱플레이어를 혼용해서 쓰는 것을 비추천합니다.

우선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습니다. 만일 혼용 시 어떤 앱플레이어에서 문제가 터졌는지 감염되었는지 쉽게 판단할 수 없으며 예를 들어 녹스에서 문제가 터졌는데 블루스택으로 혼동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빠른 문제 해결이 어려울 수 있겠죠? 또한 앱플레이어는 실행을 하지 않아도 게임의 다운로드 용량에 따라 Pc 저장 공간을 굉장히 많이 차지합니다. 다른 업무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7, 안드로이드 5는 안전에 취약한가요?

안드로이드 5 환경은 안드로이드 공식 개발자측에서 더 이상 운영하지 않기 때문에 보호에 취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앱플레이어 자체에서 이와 같은 취약한 환경을 항상 주시하고 관리해야 안드로이드 5 환경의 앱플레이어 사용자의 pc를 보호할 수 있을 것이고 나아가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제는 앱플레이어에서 모바일 게임이 가장 최적화된 환경이 안드로이드5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는 안드로이드5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안드로이드 7버전을 실시하고 있는 녹스앱플레이어 홈페이지

그럼 앱플레이어를 가장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1, 이슈가 없었던 앱플레이어

현재까지는 이 부분이 사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척도가 된다고 판단합니다. 그 만큼 보안과 사용자 서비스 부분에서 확실히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이고 그것이 사용자와 신뢰 관계로 이어진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는 회사이기 때문입니다.

2, 이미 인지도가 있고 오래된 프로그램

앱플레이어와 같이 기술, 운영 방면으로 전문적인 경험이 필요한 프로그램은 경험이 많은 만큼 사용자 pc사양에 따른 피드백 관련 데이터가 많기 때문에 서비스 운영 방면으로 가장 잘 되어있을 거라 확신합니다. 저희 백신 프로그램도 이러한 경험에서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유저 고충을 잘 파악하고 개선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잠시 저희 프로그램 홍보하고 가겠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국내 모든 pc는 AhnLab V3가 지킵니다. 추천!!

//www.ahnlab.com/kr/site/product/productView.do?prodSeq=8

3,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프로그램

최근 유튜브 게임 채널을 보면서 네이버 데이터랩으로 앱플레이어 시장 점유률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었는데 필자도 지금까지 모르고 있었던 부분이지만 국내에서 가장 많이 쓰는 1위 앱플레이어와 기타 앱플레이어의 차이가 매우 많이 난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보고 타사용자분들도 필자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인지 자연스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기타 구글에서 찾게된 자료인데 구독자분들에게도 좋은 자료가 되었길 바랍니다.

녹스앱플레이어 시장 점유률

국내 Pc방 유틸리니 점유률이 거의 80%면 프로그램이면 안전에 있어서는 저희와 같은 전문가들에게 완전한 인정을 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녹스앱플레이어를 클릭하면 안드로이드7 버전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녹스앱플레이어 안드로이드7버전

그래서 개발자님은 최근 어떤 앱플레이어를 사용하나요?

저는 녹스앱플레이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단순하고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5년 동안 이슈가 단 한 번도 발생한 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나마 믿고 사용하고 있는 중입니다. 물론 홍콩 회사가 ip나 기술적으로 중국과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하지만 혹시나 중국에서 까라고하면 까야되는 것이지 완전히 안심할 수는 없는 법입니다. 그래도 한국 운영자들이 운영하는 앱플레이어인 이유가 사실 큽니다. 허나 녹스앱플레이어의 경우 pc사양을 많이 탑니다. 이 말인 즉슨 pc의 사양이 낮다면 렉이 굉장이 많이 걸리는 편이며 pc사양이 높다면 최적화는 탑급 매우 가볍습니다. pc의 사양이 낮은 사용자는 블루스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보편적인 pc사양을 보유한 사용자는 녹스 혹은 엘디를 많이 찾는 편입니다.

최종적으로 짧게 말씀드리면 모든 앱플레이어가 안전하다는 것을 확신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따지면 넥슨, 넷마블등과 같은 보안이 철저한 회사의 경우도 보안이 뚤릴 수 있다는 로직이므로 이슈가 없었던 프로그램 사용을 강력히 제안드립니다. 보안이 철저하다는 것에 명백합니다. 또한 점유률이 높고 오래된 경험 많은 앱플레이어를 사용해주세요. 그리고 앱플레이어와 함께 동시 실행이 가능한 v3로 항시 백신을 실행하시 주기적으로 검사해주세요.

결론! 이슈가 한 번도 없었고 점유률 높은 서비스 운영이 잘 되어있는 앱플레이어를 사용하시며 V3와 같은 백신 프로그램으로 사용자 스스로가 pc를 지키는 것 입니다!

국내 모든 pc는 AhnLab V3가 지킵니다. 추천!!

//www.ahnlab.com/kr/site/product/productView.do?prodSeq=8

이번 앱플레이어 이슈를 계기로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게 되었는데 중간 v3 홍보 내용도 있었으나 참아주시고 소인의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