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 sprintf_s - ceon-eo sprintf_s

main.c

#include <stdio.h> union converter { float f_val; short u_val[2]; }; void main(void) { float test1 = 40.26; char PID_val[50] = {0,}; union converter conv; conv.f_val = test1; printf("%x %x\r\n", conv.u_val[1], conv.u_val[0]); sprintf(PID_val, "TEST %04X%04X", conv.u_val[1],conv.u_val[0]); printf("\r\n%s\r\n", PID_val); }

1. 처음에 위에 코드대로 돌리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뜬다.
오류 C4996 'sprintf': This function or variable may be unsafe. Consider using sprintf_s instead. To disable deprecation, use _CRT_SECURE_NO_WARNINGS. See online help for details. 

SDL 검사에 아니오를 선택하면 사라진다.

2.  sprintf(PID_val, "TEST %04X%04X", conv.u_val[1],conv.u_val[0]); 

여기서 %04X를 안하면 4자리수가 안되었을 때 0이 표시가 안되서 오류가 발생할수 있음

40.26이 16진수로 4221 a3d 인데... %04X를 안하면 4221a3d로 표시된다.

결과화면

추가

sprintf_s 를 사용 하여 해결할수 있다.

#include <stdio.h> void main(void) { char test[20] = {0,}; int val_test = 20; sprintf_s(test,sizeof(test),"val_test=%d",val_test); printf("%s\r\n",test); }

결과 화면

아직 C 언어와 친숙하지 않다면, 씹어먹는 C 언어 강좌를 보는 것이 어떻까요?

#include <stdio.h> // C++ 에서는 <cstdio> int sprintf(char* str, const char* format, ...);

str 에 데이터를 형식에 맞추어 쓴다. str 가 가리키는 배열에 형식 문자열에 지정한 방식 대로 C 문자열을 쓴다. 쉽게 설명하자면, printf 에서 화면에 출력하는 대신에 화면에 출력할 문자열을 인자로 지정한 문자열에 쓴다는 것이다. 이 때, 인자로 지정한 배열의 크기는 배열에 쓰여질 문자열의 크기 보다 커야만 한다. 주의할 점은 sprintf 함수는 자동적으로 str 맨 마지막에 NULL 문자를 붙이기 때문에 항상 한 칸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

str

C 문자열이 저장될 char 배열을 가리키는 포인 C 문자열이 저장될 char 배열을 가리키는 포인터

format

위 str 에 쓰여질 문자열을 포함하는 형식 문자열으로, 이는 형식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형식 태그는 부수적 인자로 지정한 데이터와 치환되어 쓰여지게 된다. 이 때, 데이터가 치환되는 방식은 형식 태그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부수적 인자의 개수는 적어도 형식 문자열에 사용된 형식 태그의 수 보다 많아야 한다.

형식 태그는 아래와 같이 생겼다.

%[플래그(flag)][폭(width)][.정밀도][크기(length)]서식 문자(specifier)

이 때 서식 문자(specifier) 는 대응하는 인자를 어떠한 형태로 표현할지를 결정하는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식 문자

출력 형태

예시

c

문자

a

d or i

부호 있는 십진법으로 나타난 정수

392

e

지수 표기법(Scientific notation) 으로 출력하되, e 문자를 이용한다.

3.9265e+2

E

지수 표기법(Scientific notation) 으로 출력하되, E 문자를 이용한다.

3.9265E+2

f

십진법으로 나타낸 부동 소수점 수

392.65

g

%e나 %f 보다 간략하게 출력

392.65

G

%E나 %f 보다 간략하게 출력

392.65

o

부호 있는 팔진수

610

s

문자열

sample

u

부호없는 십진법으로 나타낸 정수

7235

x

부호없는 16 진법으로 나타낸 정수 (소문자 사용)

7fa

X

부호없는 16 진법으로 나타낸 정수 (대문자 사용)

7FA

p

포인터 주소

B800:0000

n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는다. 그 대신, 인자로 부호 있는 int 형을 가리키는 포인터를 전달해야 되는데, 여기에 현재까지 쓰여진 문자 수가 저장된다.

%

% 다음에 %를 또 붙이면 stdout 에 % 를 출력한다.

위 서식 문자를 이용한 다양한 출력 형태는 아래와 같다.

#include <stdio.h> int main() { int integer = 123; char character = 'c'; char string[] = "hello, world"; int* pointer = &integer; double pi = 3.141592; char buf[100]; sprintf(buf, "integer : (decimal) %d (octal) %o \n", integer, integer); printf("%s \n", buf); sprintf(buf, "character : %c \n", character); printf("%s \n", buf); sprintf(buf, "string : %s \n", string); printf("%s \n", buf); sprintf(buf, "pointer addr : %p \n", pointer); printf("%s \n", buf); sprintf(buf, "floating point : %e // %f \n", pi, pi); printf("%s \n", buf); sprintf(buf, "percent symbol : %% \n"); printf("%s \n", buf); return 0; }

출력 결과

형식 태그에는 위 말고도 플래그, 폭, .정확도, 제한자(modifier), 부-서식문자(sub-specifiers) 에 관련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먼저 플래그를 살펴보면 플래그는 기본적으로 출력되는 형태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하게 지정할 수 있게 해준다. 플래그는 아래와 같다.

플래그

설명

+

출력 결과값이 양수인 경우라도 + 기호를 앞에 붙여서 출력하도록 한다. (물론 음수면 자동적으로 - 가 붙는다). 기본적으로 지정하지 않았을 경우 음수에만 앞에 - 가 붙는다.

(공백)

앞에 부호가 붙지 않는다면 한 칸을 띄어서 출력한다. (다시말해 123 은 " 123" 으로 출력되고 -123 은 "-123" 으로 출력된다)

#

o, x, X 서식 문자들과 사용되면 출력되는 값 앞에 각각 0, 0x, 0X 가 붙게 된다. (이 때 0 은 제외한다). e, E, f 서식 문자들과 사용되면 소수점 아래 수들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강제적으로 소수점을 붙이도록 한다. 원래 소수점 아래 수들이 없다면 소수점을 붙이지 않는다. g 와 G 서식 문자들과 사용되면 e 와 E 일때와 동일한 작업을 하지만 소수들의 뒷부분에 붙는 0 들 (123.1200 등) 은 제거되지 않는다.

0

수들을 왼쪽으로 정렬하되 빈 칸을 삽입하는 대신에 0 을 삽입한다. (폭 지정자 참조)

폭은 말그대로 출력되는 데이터의 폭을 지정해준다. 참고로 여기서의 폭(width)은 뒤에 나오는 길이(length) 와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므로 유의 하시기 바란다.

설명

*

폭을 형식 문자열에 지정해서 받지 않지만, 그 대신에 형식 문자열 뒤에 오는 인자들에 넣어서 받는다. 이 때, 이는 정수 값이여야 하며 폭을 지정하는 변수 뒤에 출력할 데이터가 위치하면 된다.

/* 사용 예 */ #include <stdio.h> int main() { FILE *fp = fopen("output.txt", "w"); char buffer[100]; int i = 123; int j = -123; double f = 3.141592; sprintf(buffer, "폭 맞추기 \n"); fputs(buffer, fp); sprintf(buffer, "i : %6d \n", i); fputs(buffer, fp); sprintf(buffer, "i : %7d \n", i); fputs(buffer, fp); sprintf(buffer, "i : %2d \n\n", i); fputs(buffer, fp); sprintf(buffer, "왼쪽 정렬 \n"); fputs(buffer, fp); sprintf(buffer, "i : %5d끝 \n", i); fputs(buffer, fp); sprintf(buffer, "오른쪽 정렬 \n"); fputs(buffer, fp); sprintf(buffer, "i : %-5d끝 \n\n", i); fputs(buffer, fp); sprintf(buffer, "# 문자의 사용 \n"); fputs(buffer, fp); sprintf(buffer, "i : %#x \n", i); fputs(buffer, fp); sprintf(buffer, "i : %#X \n\n", i); fputs(buffer, fp); sprintf(buffer, "부호 붙이기 \n"); fputs(buffer, fp); sprintf(buffer, "%+d, %+d \n", i, j); fputs(buffer, fp); return 0; }

출력결과

파일에 쓰여진 모습

정밀도는 말그대로 수치 데이터를 출력할 때 어떠한 정밀도로 출력하는지 (즉, 몇 자리 까지 출력해야 되는지) 를 지정해준다. 참고적으로 정밀도를 나타낼 때, 앞에 꼭 마침표(.) 을 찍는 것을 잊지 말기 바란다. 마침표를 찍는 이유는 앞에 폭과 구분을 하기 위해서 이다.

정밀도

설명

.*

형식 문자열에서 정밀도를 나타내지는 않지만 뒤에 인자로 정밀도 값을 준다. 이 때 인자는 형식 태그가 적용되는 데이타 앞에 있어야 한다.

길이는 출력하는 데이터의 정확한 크기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서 %d 서식문자의 경우 막연하게 '정수형 데이터를 십진법으로 출력한다' 였지만 길이를 지정해주면 어떻나 크기로 데이터를 출력해야되는지 (int 냐 short 냐 등등) 을 지정할 수 있다.

길이

설명

l

정수 서식 문자(i,d,o,u,x, X) 에 사용되었을 경우 인자를 long int 나 unsigned long int 로 생각하며 c 나 s 에 사용되었을 경우 wide character 나 wide string 으로 생각한다.

L

인자를 long double 로 생각한다. (오직 부동 소수점 서식 문자인 e,E,f,g, G 에만 적용된다)

/* 사용 예 */ #include <stdio.h> int main() { double f = 3.141592; int i = 12345; char buffer[100]; sprintf(buffer, "f : %.3f \n", f); printf("buf: %s \n", buffer); sprintf(buffer, "i : %.10d \n", i); printf("buf : %s \n", buffer); return 0; }

출력 결과

형식 문자열에 따라 함수는 여러 인자들을 가지며, 각 인자는 형식 문자열의 각 형식 태그에 순차적으로 대응된다. 기본적으로 형식 문자열에 들어 있는 형식 태그의 수와 뒤따라 붙는 인자들의 수는 같아야 한다. (물론 .* 이나 * 과 같은 예외적인 상황은 제외한다)

sprintf 함수를 잘 이용하면 수를 손쉽게 문자열로 바꿀 수 있다. 바로 다음과 같이.

#include <stdio.h> int main() { int i; char str[100]; scanf("%d", &i); sprintf(str, "%d", i); printf("str : %s \n", str); return 0; }

실행 결과

i 의 값을 %d 의 형태로 str 에 문자열로 넣었으니 str 에는 i 의 값이 문자열의 형태로 변환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i 의 값을 16 진수나 8 진수 형태로 (%x, %o) 넣을 수 도 있다.

str 에 쓰기가 성공할 경우 쓰여진 총 문자의 개수가 반환된다. 이 때, 이 문자의 개수는 맨 마지막에 자동적으로 붙는 NULL 문자는 포함하지 않는다. 실패할 경우 음수가 리턴된다.

/* sprintf 함수 예제 이 예제는 //www.cplusplus.com/reference/clibrary/cstdio/sprintf/ 에서 가져왔습니다. */ #include <stdio.h> int main() { char buffer[50]; int n, a = 5, b = 3; n = sprintf(buffer, "%d plus %d is %d", a, b, a + b); printf("[%s] is a %d char long string\n", buffer, n); return 0; }

실행 결과

  • printf : 표준 출력(stdout) 에 데이터를 형식에 맞추어 출력한다.

  • sscanf : 문자열에서 데이터를 형식에 맞추어 읽는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