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스패널 장단점 - beiseupaeneol jangdanjeom

1. 그림 처럼 어쿠스틱 패널을 암면 300mm 충진하고 앞면 합판으로 막아 벽의 역할을해 공진음을 분산시키는것(높이도 거의 천장까지 채울것 같습니다. vs 300mm짜리 패브릭마감된 어쿠스틱 패널과 2면이 만나는 코너를 암면과 패브릭으로 마감된 슈퍼 청크 베이스 트랩으로 마감(실리콘으로 천장과 벽 바닥과 벽에 붙혀 시공할 생각입니다.

뭔가 더 나은 방법일까요??

문때문에 한 코너에는 베이스트랩을 두지못해 이렇게 고안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1 어쿠스틱 패널로 벽역할을 해 공진음 분산시키는것이 더 낫다면 1번의 위치는 어떻게 위치시키는것이 좋을까요?

2. 피아노가 음향목이고 뒷부분이 디퓨저와 비슷하게(틈이 넓지만) 되어있는것을 고려할때 디퓨저 역할을 할수있을까요? 어디에 피아노를 위치해야할까요?(피아노를 음원으로 고려하지 않을때)

3. 스피커와 어쿠스틱 패널, 베이스트랩과 거리는 어떻게 되어야 할까요?


4. 베이스트랩을 그림과 같이 824, 824, 1200 정도의 크기로 만들생각인데 장점과 단점이 있을까요?

5. 어쿠스틱 패널이지만 베이스 트랩의 역할까지 기대해서 암면 300mm로 만들 생각인데 앞면은 합판으로 막고 뒷면은 패브릭마감으로 하면 어떨까요? 전부다 그렇게 하면 중고음이 흡음이 되지 않고 전부 패브릭 마감으로 하면 벽역할을 못해 공진음 분산이 안될것같아 질문드립니다!

6. 3면이 만나는 벽에 거대한 베이스 트랩을 설치하고 2면이 만나는벽에는 암면으로 충진된 페브릭 마감의 슈퍼청크 형태의 것 붙이는것은 어떤가요

7. 집성목이 마감재로 좋지 못하다 하셨는데 레드파인 솔리드 집성목이나 스프러스 솔리드 집성목도 자작나무 합판보다 못한 성능인가요?

8. 데드엔 라이브 컨셉으로 반쪽 천장은 암면 50mm를 패브릭마감해서 붙힐생각인데 어떨까요?

  • 티타늄아연판
  • 아이루프
  • 고밀도목재판넬
  • 베이스판넬
  • 접합강판

베이스판넬

베이스패널의 특성

  • 내구성 내구성,내융해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습니다.
  • 의장성 건물의 외관에 따라 패널의 표면을
    다양하게 할 수 있습니다.
  • 경량성 M2당 무게가 40kg~60kg으로
    건물의 구조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 마감성 본타일, 페인트 등 자유로운
    마감 시공이 가능합니다.
  • 안정성 고압 증기양생이므로 시공 후 수축,
    팽창, 뒤틀림이 적습니다.
  • 내진성 이상적인 조립방법으로 시공되어
    지진에 의한 충격을 흡수합니다.
  • 불연성 불연성이 우수하여 화재발생시
    화재확산 방지효과가 뛰어납니다.
  • 환경성 자연환경과 인간을 생각한
    무석면 제품입니다.

베이스패널의 특성

  • 건축용 : 건축물 외벽, 내벽, 바닥 칸막이, 계단 등 인텔리전트 건축물
  • 차음용 : 고속도로, 국도, 철도의 반사형 차음판

베이스패널의 취득인증성

베이스패널의 물성

항목검사항목단위세부기준비고
무게 소재비중 g/cm3 2.0 이하 KS F 4735
물리적 성능 휨강도 N/mm2 14.0 이상 KS F 4735
압축강도 N/mm2 39.2 이상 -
내동결융해성 - 겉모양의 변화 및 중간 박리가 없어야 한다. KS F 4735
물에 관한 특성 흡수율 % 18 이하 KS F 4735
함수율 % 8 이하 -
흡수에 의한 길이 변화율 % 0.12 이하 KS F 4735
차음 차음성 Rw 24 이상 KS F 4735
최대변위량 mm 탄성변위량 : 50 이하, 영구 잔류변위량 : LA/500 이하 KS F 4735
내하중 등급 kPa 1호(1970mm) : 3.4 이상, 2호(3970) : 2.8 이상 3.4 미만 KS F 4735
충격 - 관통없을 것 KS F 4735

베이스패널의 특징

  • 베이스패널 모서리부분의 모따기를 통해 제품의 의장성(외관디자인)을 향상 시켜
    미려한 공간 형성에 우수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베이스패널 평판 표면에 Sanding(표면연마) 처리를 통해 선명하고 균일한 표면을
    확보하였습니다.

베이스패널의 형상

l       壓出成形 시멘트-板의 槪論

1.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개념) 압출성형 시멘트-판은 주원료인 시멘트를 패널 형태로 진공/압출하여 경화시킨 건축마감재이다. 경량의 시멘트-판으로 만들어진 마감면은 별도의 도료를 사용하지 않고, 시멘트 고유의 회백색 색상을 자연스럽게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 국내에서는 2008년부터 ‘석면(石綿 / asbestos)’이 포함된 압출성형 시멘트-판은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2.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제조)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제조 공정은 다음을 참고한다.

1)      원료배합 후 압출성형

2)      1차 양생 – 60˚ 증기(steam) 양생

3)      1차 가공

4)      2차 양생 – 고온고압(autoclaved) 양생

5)      2차 가공

6)      출하

3.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구성)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구성요소는 다음을 참고한다. – 베이스패널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1)      바탕틀 – 구조물에 긴결된 철제 각-파이프 틀(방청처리) 바탕면으로 사용한다.

2)      마감

(1)   압출성형 시멘트-

a.      평판

b.      코너- (인방)

c.      두겁대

(2)   고정철물

a.      전용 고정철물로 마감과 바탕을 연결한다.

b.      수평(가로) 고정방식 – L-클립(clip)

c.      수직(세로) 고정방식 – Z-클립(clip)

(3)   차수재 – 고무-패킹

(4)   줄눈 – 백업-재 후 실런트 코킹

4.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특성)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특징은 다음을 참고한다.

1)      장점

(1)   50/㎡ 정도의 경량마감재이다.

(2)   제품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강도가 높다.

(3)   차음성 / 내화성 / 단열성이 좋다.

(4)   고압증기양생으로 시공 후 수축 / 팽창 / 뒤틀림이 없다.

(5)   타일 / 본타일 / 페인트 등의 자유로운 마감시공이 가능하다.

2)      단점 – 자주 우수에 노출되는 경우, 오염 또는 변색의 우려가 있다.

5.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유형) 압출성형 시멘트-판은 형태(용도)에 따라 다음의 종류가 있다. – 베이스패널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1)      일반(평판)

(1)   /바닥에 사용하는 평판 패널이다.

(2)   표면 질감에 따라

a.      평면(flat)

b.      리브(rib)

c.      노출콘크리트(concrete)형 – 폼타이 구멍 Ø30, 깊이 30 (협의 조정 가능)

2)      코너형

(1)   외벽 외모서리 또는 계단 외모서리에 사용하는 패널이다.

(2)   한쪽 모서리가 마감면으로 만들어져 있다.

6.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제품규격) 설계 시 제품규격은 전문생산회사에 반드시 확인한다. – 베이스패널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제품코드

단면의 형상 (용도)

표준폭

최대길이

BP-2040

(내장용 / 지하 이중벽)

400

2,400

BP-3550

(외장용 / 내장용 / 바닥용)

500

2,700

BP-3560

(외장용 / 내장용 / 바닥용)

600

2,700

BP-5050

(외장용 / 내장용 / 바닥용)

500

4,000

BP-5060

(외장용 / 내장용 / 바닥용)

600

4,000

BP-6050

(외장용 / 내장용)

500

5,000

BP-6060

(외장용 / 내장용)

600

5,000

BNS-5050

(외장용 / 내장용 / 차음벽)

500

4,000

L-145

(외장용 / 내장용 / 코너용/ 인방용)

60 * 145

4,000

L-300

(외장용 / 내장용 / 코너용/ 인방용 / 두겁대 / 계단)

60 * 292

4,000

L-430

(외장용 / 내장용 / 코너용/ 인방용 / 두겁대 / 계단)

60 * 430

5,000

L-600

(외장용 / 내장용 / 코너용/ 인방용 / 두겁대)

60 * 592

5,000

7.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용도)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사용범위는 다음을 참고한다.

1)      외벽마감

(1)   수평(가로) 부착방식 –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서울 연동교회 가나의 집 (건축사사무소 OCA 설계)

경기 고양시 풍동도서관 (인터커드 건축사사무소 설계)

(2)   수직(세로) 부착방식 –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경기 동탄 P&P 메디컬센터 (㈜네오건축사사무소 설계)

인천 경원초등학교 (디엔비건축사사무소 설계)

서울 신사동 예화랑 (운생동 건축사사무소 설계)

(3)   수평 + 수직 부착방식 – 

 테크월 www.tecwall.kr 참조

대구 근로복지공단 대구산재병원 (건축사사무소 OCA 설계)

(4)   수직 차양 부착방식 –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서울 숭실대학교 학생회관 (가아건축사사무소 설계)

인천 주안6동 주민자치센터 (일사공구건축사사무소 설계)

2)      옹벽마감 –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1)   수평(가로) 부착방식 – 코너형

서울 성북동 주택 (태제건축사사무소 설계)

3)      참고) 바닥마감 –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1)   바닥 부착방식

경기 고양시 풍동도서관 (인터커드 건축사사무소 설계)

(1)   계단 부착방식 –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경기 파주시 사계절출판사 (가와종합건축사사무소 설계)

 출처 : 아키데이타(//www.archidata.co.kr/filebase/Data/52593/db406.htm)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