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가 가사 3절 - aegugga gasa 3jeol

애국가 부르기, 애국가 1절 2절 3절 4절 가사

정말 희한하게

난 가르쳐 준 적이 없는데

첫째가 애국가를 자주 부르기 시작하더니

둘째도 애국가를 종종 부른다.

음... 머지??

알고 봤더니

엄마가 아이들에게

애국가를 불러주고 계셨던 것!!

ㅎㅎㅎ

요즘 동요는 잘 모르시니까

애국가를 동요 대신 불러주신 듯하다.

그 덕에 딸래미들이

애국가를 자주 부른다.

가끔 가사가 기억이 안 나면

가사 찾아달라는 요청이 나에게 온다.

그래서 애국가 가사 포스팅!!

마지막엔 딸들의 애국가 부르기까지!!

#애국가부르기

#애국가가사

애국가 악보 (네이버 지식백과)

애국가 1절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애국가 2절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 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애국가 3절

가을 하늘 공활한데 높고 구름 없이

밝은 달은 우리 가슴 일편단심일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애국가 4절

이 기상과 이 맘으로 충성을 다하여

괴로우나 즐거우나 나라 사랑하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이렇게 들으니 애국자들 같네 ㅎㅎ

뭐든 열심히 해서

사회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돼보자!! ^^

자료/ 악보/ 유틸

2015. 2. 25. 15:59

대한민국 애국가 가사(검은색은 후렴)

1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 나라 만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2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 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3가을 하늘 공활한데 높고 구름 없이
밝은 달은 우리 가슴 일편단심일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4이 기상과 이 맘으로 충성을 다하여
괴로우나 즐거우나 나라 사랑하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자료/ 악보/ 유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기 음역대 (피아노, 기타, 목소리 옥타브 주파수 피아노 기준 Piano, Guitar Range  (0) 애국가 악보, 미디(midi), mp3(반주, 음성)  (5) 생일 축하 노래 - 악보, MP3, 미디(midi) 다운로드 - 해피버스데이투유(Happy birthday to you)  (1) 환희의 송가(Ode to joy) 피아노 연주법 배우기 동영상, 악보, 미디(midi) - 베토벤 합창교향곡  (0) 고요한 밤 거룩한 밤 - 악보, 가사, 미디(midi)파일, 독일어 - Silent Night, Holy Night  (0)
2016.05.07
2009.01.09
2008.12.26
2008.12.24
2008.12.19

'자료/ 악보/ 유틸' Related Articles

  • 악기 음역대 (피아노, 기타, 목소리 옥타브 주파수 피아노 기준 Piano, Guitar Range
  • 애국가 악보, 미디(midi), mp3(반주, 음성)
  • 생일 축하 노래 - 악보, MP3, 미디(midi) 다운로드 - 해피버스데이투유(Happy birthday to you)
  • 환희의 송가(Ode to joy) 피아노 연주법 배우기 동영상, 악보, 미디(midi) - 베토벤 합창교향곡

애국가의 역사를 살펴보아요

애국가의 역사

애국가(愛國歌)는 ‘나라를 사랑하는 노래’라는 뜻이에요. 우리나라는 애국가에 특별한 이름을 붙이지 않고 국가(國歌)로 사용하고 있어요.

오늘날 불리고 있는 애국가 노랫말은 우리나라가 외세의 침략으로 위기에 처해있던 시기(1907년 전후)에 나라 사랑하는 마음과 우리 민족의 자주의식을 북돋우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여져요.

그 후 여러 선각자의 손을 거쳐 현재와 같은 내용을 담게 되었는데 이 노랫말에 붙여진 곡조는 스코틀랜드 민요 ‘올드 랭 사인 (Auld Lang Syne)’ 이었답니다. 당시 해외에서 활동 중이던 작곡가 안익태(安益泰) 선생은 애국가에 남의 나라 곡을 붙여 부르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1935년에 오늘날의 애국가를 작곡하였다고 해요.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현재의 애국가가 정부의 공식행사에서 불려지고, 교과서에도 실리면서 전국적으로 불려지기 시작했답니다.

한 세기 가까운 세월 동안 슬플 때나 기쁠 때나 우리 겨레와 운명을 같이 해 온 애국가를 부를 때마다 우리 모두 선조들의 나라 사랑 정신을 새롭게 되새겨보아요.

가사를 보며 애국가 듣기

애국가 보통 빠르게
작곡가 안익태

  • (1절)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후렴)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 (2절)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 (후렴)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 (3절) 가을 하늘 공활한데 높고 구름 없이 밝은 달은 우리 가슴 일편단심일세. (후렴)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 (4절) 이 기상과 이 맘으로 충성을 다하여 괴로우나 즐거우나 나라 사랑하세. (후렴)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애국가를 부르거나 애국가가 연주될 때 주의사항은?

  • 1. 애국가를 부를 때에는 경건한 마음으로 불러요.
  • 2. 애국가의 곡조에 다른 가사를 붙여 부르거나 곡조를 변경하여 부르지 않도록 해요.
  • 3. 애국가가 연주될 때에는 일어서서 경청하는 것이 예의랍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