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출법보온판 1호 열관류율 - abchulbeobboonpan 1ho yeolgwanlyuyul

단열재의 등급 분류

등급분류열전도율의 범위 (KS L 9106 20 ± 5ºC 시험조건에 의한 열전도율)KS M 3808, 3809 및 KS L 9102에 의한 해당 단열재 및 기타 단열재W/mKkcal/mhºC참고사항가0.034 이하0.029 이하

ㆍ압출법보온판 특호, 1호, 2호, 3호
ㆍ비드법보온판 2종 1호, 2호, 3호, 4호

ㆍ경질우레탄폼보온판 1종 1호, 2호, 3호 및 2종 1호, 2호, 3호

ㆍ기타 단열재로서 연전도율이 0.034 W/mK (0.029 kcal/mhºC)이하인 경우

나0.035 ~ 0.0400.030 ~ 0.034

ㆍ비드법보온판 1종 1호, 2호, 3호

ㆍ미네랄울 보온판 1호, 2호, 3호
ㆍ그라스울 보온판 24K, 32K, 40K
ㆍ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0.035 ~ 0.040 W/mK (0.030 ~ 0.034 kcal/mhºC) 이하인 경우

다0.041 ~ 0.0460.035 ~ 0.039ㆍ비드법보온판 1종 4호
ㆍ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0.041 ~ 0.046 W/mK (0.035 ~ 0.039 kcal/mhºC) 이하인 경우라0.047 ~ 0.0510.040 ~ 0.044ㆍ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0.047 ~ 0.051 W/mK (0.040 ~ 0.044 kcal/mhºC) 이하인 경우

  ※ 단열재의 등급분류는 단열재의 열전도율의 범위에 따라 등급을 분류한다

건축물 에너지 절약설계 기준

국토교통부 고시 제 2013-141호 - 2013. 09 시행

단열재의 등급 분류

 

등급분류열전도율의 범위 (KS L 9102 또는 KS F 2277에 의한 20 ± 5ºC 시험조건에 의한 열전도율KS M 3808, 3809 및 KS L 9102에 의한 해당 단열재 및 기타 단열재이소바 그라스울W/mKkcal/mhºC가0.034 이하0.029 이하

ㆍ압출법보온판 특호, 1호, 2호, 3호
ㆍ비드법보온판 2종 1호, 2호, 3호, 4호

ㆍ경질우레탄폼보온판 1종 1호, 2호, 3호 및 2종 1호, 2호, 3호

ㆍ기타 단열재로서 연전도율이 0.034 W/mK (0.029 kcal/mhºC)이하인 경우

ㆍ그라스울
40K, 48K, 64K, 80K, 96K
ㆍ하이퍼포먼스 보드 32K나0.035 ~ 0.0400.030 ~ 0.034

ㆍ비드법보온판 1종 1호, 2호, 3호

ㆍ암면보호판 1호, 2호, 3호
ㆍ유리면보호판 2호
ㆍ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0.035 ~ 0.040 W/mK (0.030 ~ 0.034 kcal/mhºC) 이하인 경우

ㆍ그라스울 24K, 32K다0.041 ~ 0.0460.035 ~ 0.039ㆍ비드법보온판 1종 4호
ㆍ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0.041 ~ 0.046 W/mK (0.035 ~ 0.039 kcal/mhºC) 이하인 경우 라0.047 ~ 0.0510.040 ~ 0.044ㆍ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0.047 ~ 0.051 W/mK (0.040 ~ 0.044 kcal/mhºC) 이하인 경우 

 

단열재의 두께

 

건축물의 부위지역중부지역남부지역제주도단열재 등급가나가나가나거실의 외벽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단열재 두께
(mm)120140901107080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909560704550최하증에 있는 거실의 바닥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바닥이 난방인 경우14016511513595115바닥이 난방이 아닌 경우110130110130110130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바닥이 난방인 경우8510080906575바닥이 난방이 아닌 경우708570857085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180215145175115135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1201451001207590바닥난방인 층간바닥303530353035

 
※ 단열재의 등급분류
“가”등급 : 열전도율 0.034W/mK 이하(20℃)의 제품
“나”등급 : 열전도율 0.035~0.040W/mK(20℃)의 제품

공지 목록

공지글글 제목작성일

공지 양생연료 핵심 검토요인 안전성, 양생시간

2022. 1. 19.

(4)

공지 건자재24 안전 캠페인 이모티콘 모음 !!

2019. 8. 9.

공지 4월 최신 단열재 노마진 이벤트!!! (경질우레탄, 아이소핑크, 폴리우레탄, 열반사단열재, PF보드, 접착식단열재)

2019. 4. 2.

(1)

공지 철근가격 몰라서 바가지?? (철근가격표) 꼭!! 확인하세요!!!!

2019. 3. 6.

(2)

공지 소량 가공 철근 구매 팁! (철근가격표 포함)

2019. 3. 5.

건축단열재

열관류율 기준 단열재별 필요두께

철근가공유통센터2019. 11. 20. 18:09

URL 복사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신고하기

각 단열재마다 성능과 열전도율이 달라 열관류율 기준 필요 두께가 각각 달라

열관류율기준 단열재별 필요한 두께를 정리했습니다.

비드법

비드법 보온판의 열전도율은 0.031~0.034W/mk 입니다.

열관류율 0.150 에 맞추려면 최소 필요한 두께는 210~230mm입니다.

압출법

압출법 보온판의 열전도율은 0.027~0.028W/mk 입니다.

열관류율 0.150에 맞추려면 최소 필요한 두께는 180~190mm입니다.

경질우레탄 보드

경질우레탄 2종2호의 열전도율은 0.023W/mk 입니다.

열관류율 0.150에 맞추려면 최소 필요한 두께는 155mm입니다.

PF보드

PF보드의 열전도율은 0.019W/mk 입니다.

열관류율 0.015에 맞추려면 최소 필요한 두께는 130mm입니다.

비드법과 압출법 보온판의 경우 비교적 저렴한 단가의 단열재입니다.

하지만 두께를 생각하게 되면 저렴한 단가에도 결국엔 비싸질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필요한 최소 두께가 두꺼워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됩니다.

경질우레탄과 PF보드의 경우 성능이 좋은 비교적 비싼 단가의 단열재입니다.

하지만 비드법, 압출법의 비해 얇은 두께로 시공할 수 있고, 얇은 두께로

가격이 비드법과 압출법의 비해 저렴해 질수도 있습니다.

아래에 지역별 단열재 요구 두께 링크 올려드리니

더 궁금하신 사항 있으시면 답변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blog.naver.com/yonwoobm/221153226444

지역별 건축 단열재 요구두께 > 남부지역

남부지역을 기준으로 단열재 등급별 요구 두께를 산정해 보았습니다. 단열 등급별 단열재 종류요구두께는 ...

blog.naver.com

//blog.naver.com/yonwoobm/221152786302

지역별 건축 단열재 요구두께 > 중부지역

중부지역의 요구 열관류율에 따른 단열재 등급별 요구 두께를 산정하였습니다. 단열 등급별 단열재 종류요...

blog.naver.com

//blog.naver.com/yonwoobm/221155750420

지역별 건축 단열재 요구두께 > 제주도지역

제주도지역의 요구 열관류율에 따른 단열재 등급별 요구 두께를 산정하였습니다,

blog.naver.com

//blog.naver.com/yonwoobm/22129175172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일부개정고시안_2018.07.01 시행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일부개정고시안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blog.naver.com

태그

취소 확인

`

공감

이 글에 공감한 블로거 열고 닫기

댓글 1 이 글에 댓글 단 블로거 열고 닫기

인쇄

댓글쓰기

1/1

이전 다음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