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리트 추리논증 해설 - 2022 liteu chulinonjeung haeseol

[LEET/리트 기출문제 해설] 2022학년도 추리논증 19번

언어논리kr2021. 7. 27. 16:47

[LEET/리트 기출문제]

다음 글에 대한 평가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22추리19

연구팀은 철학자 집단과 일반인 집단을 대상으로 다음 세 문장에 대한 동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 어떤 주장이 누군가에게 참이라면, 그것은 모든 사람에게 참이다.

() 모든 사람이 어떤 주장에 동의한다면, 그 주장은 참이다.

() 어떤 주장이 참이라면, 그것은 사실을 나타낸다.

두 집단 모두에서 ()에 대해 '동의함'의 비율이 80%를 웃돌았다. ()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에서 '동의하지 않음'의 비율이 훨씬 우세했고 '동의함'의 비율은 철학자에서 더 높았다. 흥미로운 것은 ()이다. 철학자는 83%()에 동의한 반면, 일반인은 그 비율이 40%를 약간 넘었고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의 비율이 오히려 더 높았다. ()를 둘러싼 이 차이는 어디서 비롯되었을까? 연구팀에 따르면, ()는 다음 둘 중 하나로 읽힌다.

[독해 1] 어떤 주장이 참임이 결정되었다면, 그것의 참임은 객관적이다.

[독해 2] 만약 누군가가 어떤 주장이 참이라고 생각한다면, 모두가 그에게 동의할 것이다.

주장의 참임이 객관적이라는 것은, 그것의 참이 각자의 관점에 상대적이지 않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일반인에게서 ()에 동의하는 의견의 비율이 철학자에 비해 현격히 낮았던 이유는, 철학자는 ()[독해 1], 일반인은 독해 2]로 읽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연구팀은 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참임의 객관성에 대해서는 일반인과 철학자의 의견이 일치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는 참임의 객관성을 긍정, ()는 부정하는 문장인데, ()에 대해 일반인과 철학자의 '동의함' 의견의 비율이 비슷하게 높았고, ()에 동의하지 않는 비율도 철학자와 일반인이 비슷하게 높았기 때문이다.

<보 기>

. 추가 조사 결과 철학자 대다수가 [독해 2]에 대해 '동의하지 않음으로 응답했다면, ㉠은 강화된다.

. 추가 조사 결과 일반인 대다수가 [독해 1]에 대해 '동의함'으로 응답했다면, ㉡은 강화된다.

. ()에 대해 동의하는 응답의 비율에서 일반인과 철학자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이유가, '동의하지 않음' 의견을 지닌 일부 철학자가 '동의함'으로 잘못 응답한 실수 때문이었음이 밝혀진다면, ㉡은 강화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

[LEET/리트 기출문제 해설]

동의함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철학자

일반인

() [독해 1]

83%

-

() [독해 2]

-

40%

()

낮음+α

낮음

()

80%

. 철학자 대다수가 [독해 2]에 대해 '동의하지 않음으로 응답했다면, 일반인에게서 ()에 동의하는 의견의 비율이 철학자에 비해 현격히 낮았던 이유가 설명됩니다. 따라서 ㉠은 강화됩니다.

. 일반인 대다수가 [독해 1]에 대해 '동의함'으로 응답했다면, 이는 철학자의 응답 비율과 비슷해지죠? 따라서 참임의 객관성에 대해서는 일반인과 철학자의 의견이 일치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은 강화됩니다.

. ()'동의하지 않음' 의견을 지닌 일부 철학자가 '동의함'으로 잘못 응답한 실수 때문에 ()에서 약간의 차이(+α)가 난 것이라면, 실제로는 철학자와 일반인의 응답 비율이 더욱 비슷하다는 뜻입니다. 이 경우 참임의 객관성에 대해서는 일반인과 철학자의 의견이 일치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은 강화됩니다.

정답 ⑤

: 이 문항 출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국내에 번역되거나 소개된 곳이 없습니다.)

Barnard, Robert & Ulatowski, Joseph (2017). The objectivity of truth, a core truism? _Synthese_ 198 (2):717-733.

[LEET/리트 기출문제 해설] 2022학년도 추리논증 19번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